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커플
d라이브러리
"
쌍
"(으)로 총 1,17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언어 잘 배우나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철자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은
쌍
이 있고 ‘press-list’처럼 첫 자음 뒤 철자도 발음도 다른
쌍
이 있다. 4가지 유형이 임의로 섞여 있는 문제를 내고 평가한 결과 예상대로 여학생이 대체로 평균점수가 높았다.버만 박사팀은 아이들이 문제를 풀 때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뇌의 활동도를 측정했다 ... ...
물고기 입맞춤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밀어를 속삭이고 있는 걸까. 유전자가 망가져 우연히 눈이 하트 모양을 한 초파리 한
쌍
을 광학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배율 225배.빙화(氷花)바이오과학상·일반부 | 최기주·을지대 전자현미경실맨눈으로 볼 수 없을 정도로 매우 작은 20μm 크기의 얼음 꽃. 인체 세포를 급속하게 동결시키는 ... ...
[고고학]‘직소퍼즐’ 풀듯 벽화 복원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맞는지 알아보기 위해 조각
쌍
인지 분석하는 데 1~2초밖에 걸리지 않는다”며 “벽화 조각
쌍
을 더 빠르게 분석하기 위해서 조각이 발견된 장소, 안료 질감, 보존 상태 같은 정보를 추가로 넣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과학고 입시 예상문제 완전분석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분자량이 B용질보다 크다. 3. 인간은 1번부터 22번까지 염색체를
쌍
으로 갖고 추가로 한
쌍
의 성염색체를 가지므로 총 염색체 수는 46개다. 이때 성염색체가 XX이면 여성이고 XY이면 남성이다. 다음 물음에 답하라. 1) 만약 ABO 유전자가 X 염색체 내에 있다면 남자가 가질 수 없는 혈액형은 무엇인가? 2) ABO ... ...
[유전학]
쌍
둥이는 몸에서 나는 냄새도 똑같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체취의 원인인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을 분리해 종류와 양을 분석했다.그 결과 일란성
쌍
둥이들은 땀에서 생긴 카르복실산 계열 물질의 종류와 양이 이들과 혈연관계가 없는 사람들보다 10배 이상 비슷했다.영국 리버풀대 생물학자인 크랙 로버츠 교수는 “체취에 유전적 요인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 ...
해양생물도 맞춤형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한국산 가오리와 홍어의 COⅠ 염기를 조사했다. 조사 결과 염기 645
쌍
가운데 약 10%인 60
쌍
이 다르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리고 이 정보를 DNA칩에 담았다. 이 박사는 “DNA칩을 이용하면 수초 안에 가오리와 홍어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다”며 “DNA칩 덕분에 유통시장이 투명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올림픽 참가선수에게 위험한 베이징의 대기환경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때, 상대흑점수 R는 R=k(10g+f)로 정의된다 형태와 구조면에서 거의 같은 염색체가 있어
쌍
을 이룰 수 있는 염색체 감수분열에서 상동염색체가 접합하면 그 결과가 형성된 염색체를 2가 염색체(二價染色體)라 한다상동염색체상에 있는 대립 유전자의 수(數) 및 배열 순서가 같은 경우를 완전상통염색체, ... ...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점프할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수 있다.물 표면이 트램펄린인 셈소금쟁이가 물 위를 미끄러지듯 다닐 때는 가운데 다리
쌍
을 노처럼 저어서, 마치 새가 날 때와 같이, 뒤로 소용돌이를 밀어내면서 추력을 발생시킨다.(소금쟁이 이동에 대해서는 과학동아 2003년 9월호 26쪽 ‘꼬마 소금쟁이가 물 위에서 걷는 비결’ 참조)그런데 이 ... ...
애교덩어리 말티즈 듬직한 리트리버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염색체는 39
쌍
으로 23
쌍
인 사람보다 많지만 전체 게놈 크기는 24억 염기
쌍
으로 30억 염기
쌍
인 사람보다 작다. 염색체 평균 크기가 사람의 절반인 셈이다. 당시 DNA를 제공한 개는 체구가 단단한 복서(boxer)종인 ‘타샤’(Tasha)라는 이름의 암캐다. 타샤의 게놈을 기준으로 그 뒤 연구자들은 다양한 ...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가장 간단한 경우는 2차일 때. 2차 방진은 경우의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직교라틴방진
쌍
이 없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최석정이 죽고 수십 년이 지나 지구 저편 유럽에서 라틴방진을 연구했던 오일러는 차수에 따른 직교라틴방진의 존재여부에 대한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했다. 즉 ‘4k+2’(k는 자연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