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류"(으)로 총 2,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비틀스의 ‘In My Life’ 진짜 작곡가는?과학동아 l2018년 10호
- 앞뒤 멜로디의 음이 같을 땐 ‘stays the same(같음)’, 뒷음이 낮으면 ‘down(내려감)’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존 레넌과 폴 매카트니가 각각 작곡한 노래들에서 몇몇 특징이 발견됐다. 예를 들어 존 레넌의 곡은 음높이가 별로 바뀌지 않는 반면, 폴 매카트니의 노래는 음높이가 수시로 바뀌었다.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9] 면접과 구술고사 대비 전략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명칭을 쓰고 있으나 진행 방식에 따라 서류 확인 면접, 구술고사, 인·적성 면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류 확인 면접은 가장 보편적인 면접 방식으로, 서류의 진위 여부를 파악하고 내용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다. 서류 확인 면접을 실시하는 중앙대의 면접 질문을 살펴보면, 서류에서 ... ...
- 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똑똑하게 분리수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뻗어 원하는 쓰레기만 붙여 골라내는 방식이에요. 클라크는 1분당 60개의 재활용품을 분류할 수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막아라!Part 1. [사건의 발생] 재활용 업체, 쓰레기 수거 거부!Part 2. 재활용 쓰레기, 어디로 갔을까?Part 3. [우리의 노력 1] 과학으로 ... ...
- [Issue] 기상이변 일으키는 태평양의 강력한 기후 엔진 ‘천의얼굴’ 엘니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고 약 10년 전부터 이런 다양한 엘니뇨를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기 시작했다. 적도 동태평양을 중심으로 해수면 온도가 증가하는 ‘동태평양 엘니뇨’와, 중태평양을 중심으로 해수면 온도가 증가하는 ‘중태평양 엘니뇨’가 바로 그것이다. 엘니뇨는 유사한 형태 ... ...
- 중앙대 과학논술 대비 전략의 핵심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대한 오해 중 하나가 대학별로 유형이 다르다는 인식이다. 유형은 질문의 형식에 따른 분류에 불과하다. 모든 대학의 논술은 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단지 대학별로 질문의 형식이 다를 뿐이다. 유형에 연연하지 말고, 논리를 어떻게 구성할지 고민하는 것이 우선이다. 중앙대는 쉬운 ... ...
- [과학뉴스] 경련, 구토 방지에 효과 ‘대마’ 성분 의약품, 수입 허용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니빌론은 감기약으로 주로 쓰이는 코데인, 진통제로 쓰이는 옥시코돈과 같은 그룹으로 분류된다. 강 교수는 “한국은 다른 아시아 국가에 비하면 칸나비노이드 성분 의약품 도입이 빠른 편”이라며 “6월 FDA가 의약품으로 승인한 뒤 곧바로 수입이 허가됐다”고 말했다. 그는 “국내에 난치성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부른다. 현재 백 연구원은 멀티모달 학습을 마친 인공지능이 운전자 상태를 6가지로 분류하도록 개발하고 있다. 정상 상태, 졸음이 밀려오는 상태, 얕은 잠, 깊은 잠, 그리고 심장정지와 심장마비 등 응급상황도 넣었다. 졸음이 밀려오는 상태에서는 눈의 깜빡임 횟수가 줄어들고 눈이 닫혀있는 ... ...
- Part 1. 인공위성으로 유적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페루 각지를 촬영한 인공위성 사진 1100만 여 장에서 유적지를 도굴한 흔적을 찾아 분류하는 일이에요. 예를들어 여러 개의 구멍이 있고, 불도저와 같은 기계가 지나간 흔적이 있는 곳은 고고학자들에게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지만, 도굴꾼들에게 이미 도굴된 유적지일 가능성이 높지요. ... ...
- [Issue] 한반도 습격 시작한 남미붉은독개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거쳐 2006년부터 상지대 산림과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국내에 분포하는 개미 분류 및 분포 조사연구, 산림해충 조사연구, 항만에 분포하는 유입 외래종 분포 조사 등을 수행하고 있다. myrmicinae@sangji.ac ... ...
- Part 4. 별별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요. 외계행성 탐험가 프로젝트는 먼저 컴퓨터가 외계행성이라고 생각되는 데이터를 분류하면 시민과학자들이 이 데이터를 검증하는 역할을 해요. 한편 행성 사냥꾼 프로젝트는 시민과학자들이 직접 중심별의 밝기 변화를 감지해 외계행성을 찾아낸답니다.Q‘외계행성 탐험가’ 프로젝트에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