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퀴"(으)로 총 1,529건 검색되었습니다.
- EPILOGUE 건설 공장에서 찍어내는 미래 도시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굴착기 ‘CX’는 운전실을 슬라이드로 움직여 가파른 언덕에서도 굴착기 팔이나 커다란 바퀴에 시야가 가리지 않는다. 최누리 홍보팀 과장은 “차체뒤쪽에 달린 균형추가 삽에 담긴 무게를 감지해 자동으로 위치를 바꿔 균형을 잡는다”며 “굴착기가 전복돼도 운전실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구조와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우리나라까지 오게 되지 않을까. 후쿠시마 부근의 오염 물질이 해류를 따라 태평양을 한 바퀴 돈 뒤 쓰시마해류를 타고 우리 영해로 돌아오려면 짧게 수 개월에서 길게는 수 년이 걸린다. 서 교수는 “태평양을 지나 우리나라 영해로 들어온다고 해도 어마어마한 양의 바닷물에 희석돼 안전하다”고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말 그대로 동력을 빼내는 장치다.정지한 상태에서 PTO를 작동시키면 그 때부터 엔진이 바퀴 대신 유압펌프를 돌린다. 덤프트럭이 토사를 쏟거나 굴착기가 삽질을 할 수 있다. 소방차에도 PTO가 있어서 엔진 동력으로 물 펌프를 구동한다. 만약 굴착기가 주행하면서 팔을 움직이면 엔진 동력이 분산돼 ... ...
- 톱니바퀴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그런데 플랜트호퍼의 톱니바퀴는 성충이 되면 사라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톱니바퀴는 이빨 하나가 빠지면 전체가 망가지는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탈피할 때마다 톱니를 고치지만 더 이상 탈피를 못하는 성충이 되면 망가진 톱니는 고칠 방법이 없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이 연구결과는 ... ...
- [수학뉴스] 수학 덕분에 더 안전해진 항공기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분석했다.그 결과 다양한 진동의 원인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바퀴와 바닥의 상호작용과 착륙장치의 진동은 여러 가지 현상이 관련된 복잡한 관계지만, 삼중 자유도 모델을 사용하면 부분적으로 나눠서 계산하기 때문에 그 원인을 비교적 정확히 구할 수 있다. 즉, 원인을 알 수 ...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도착한 커티스에게 “각자 위치를 지키는 것이 바로 인류의 모습”이라 말했다. 그러나 바퀴벌레로 만든 음식을 기꺼이 먹을 사람은 흔치 않다. 그렇다면 새 설국열차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삼아 보자.그런데 시작부터 문제가 녹록치 않다. 승객 한 명이 1년간 쌀을 먹기 위해서는 무려 5칸의 벼 ... ...
- 내일은 야구왕 피칭머신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두 바퀴의 속도를 다르게 하면 빠른 쪽으로 공이 휘어 변화구가 만들 수 있단다. 여기에 바퀴의 높이와 각도를 조절하면 공을 더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지.우와~. 피칭머신으로 못하는 게 없군요.이제 피칭머신으로 연습해서 훌륭한 프로야구 선수가 되는 거야!참여독자 : 유동규(전주 북일초 4), ...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수학동아 l2013년 08호
- 분속으로 변환해 터보의 빠르기와 비교해 보자. 실제로 인디 500에 출전하는 선수들이 한 바퀴 코스를 주행하는 데 걸리는 평균속도는 약 시속 370km이다.370km/1시간 = 370000m/60분 = 37000000cm/60분 ≑ 약 분속 616,667cm ★ 1km=1000m ★ 1m=100cm터보의 빠르기가 분속 2cm이므로, 기 가니 ...
- 8화 뫼비우스의 공간을 탈출하라!수학동아 l2013년 08호
- 털썩 주저앉은 폴에게 하루가 물었다.“잠깐, 그 개미 공작은 만났어?”“아니, 한 바퀴 다 돌았는데 전혀 안 보여.”“그 녀석이 어디론가 사라졌다면, 분명 우리도 빠져나갈 방법이 있을 거야.”“정답~!”경쾌한 목소리의 주인공은 다름아닌 메비우스 공작이었다. 그는 어느덧 폴 일행 앞에 ... ...
- 이제는 네발로봇 세상!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당나귀처럼 무거운 짐을 싣고 사람을 따라다니는 ‘짐꾼’의 가치를 인정하기 때문이다. 바퀴를 단 자동차가 올라올 수 없는 험준한 산속도 로봇은 무거운 짐을 지고 불평 없이 따라온다. 군사, 탐사용 로봇으로는 최적이다.발이 두 개든 네 개든 걸어 다니는 로봇을 만드는 건 어렵다. 하지만 둘 중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