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로"(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 [Data Math] 프린스턴대 수학 박사가 금융계에 만들고픈 변화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플랫폼입니다. 이 기술의 핵심인 인공지능 엔진 ‘아이작’의 개발을 주도한 사람이 바로 김 실장입니다. 그가 프린스턴대 대학원에 갈 때만 해도 핀테크 일을 하게 될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습니다. 그런데 공부해 보니 오히려 연구자는 자신의 길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수학자는 문제를 ... ...
- [냠냠! 어수잼] 의 황금을 모두 세어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왕국의 유일한 후계자죠. 그런데 왕자에겐 남들에게 말 못 할 비밀이 하나 있었어요. 바로 큰 수를 읽지 못한다는 것! 어느 날, 어머니인 ‘잘 살만’ 왕이 아들을 불렀어요. “왕자야, 우리 왕국의 황금이 모두 얼마인지 아느냐? 그 수를 세서 내게 알려다오.”잘 살만 왕은 위엄있게 덧붙였죠 ... ...
- [꿀꺽! 수학 한 입] 마트에 가면~♪ 과자도 있고, ‘숫자’도 있고?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많아요. 왜 마트는 5000원, 2만 원처럼 딱 떨어지는 가격을 쓰지 않는 걸까요? 비밀은 바로 ‘자릿수’에 있어요. 자릿수란 일, 십, 백, 천, 만 등과 같은 수의 자리를 뜻해요. 만약 1234라는 수가 있다면, 이중 가장 높은 자릿수는 1이고, 가장 낮은 자릿수는 4예요. 1은 천의 자리에 있고, 4는 일의 자리에 ... ...
- [도전! M 체스마스터] 빠져나갈 수 없을걸? 앙파상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잡는 거예요. 마치 상대방의 폰이 1칸을 움직인 것과 같지요. 단, 상대 폰이 두 칸 이동한 바로 다음에만 앙파상을 할 수 있어요. 만약 이때 앙파상을 하지 않는다면, 다음 기회는 없어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안내판도 붙어 있습니다. 그런데 두리안을 즐겨 먹는 동물이 있다고 하네요? 그 주인공은 바로 호랑이! 두리안의 어원과 내부 구조까지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참, 콧구멍은 꼭 틀어막기! 12명의 영웅(?)이 모였다! 조회 수 : 3.4만 회채널명 : Device Orchestra (구독자 수 : 65만 명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능력이 크게 증가한다. 대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아는 것을 똑똑하다고 말하는데 바로 이것이 일반화 능력이다. 매개변수가 늘어날수록 배운 적 없는 입력 데이터에 대해도 AI가 적절한 대답을 내놓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AI연구와 개발은 ‘클수록 좋다’는 단순한 신조에서 벗어나고 있다. 특히 ... ...
- [똥손 수학체험실] 세뱃돈 절/대/사/수! 복주머니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보통 천으로 만들지만, 종이를 접어 만들 수도 있어요. 종이를 접을 때 필요한 게 바로 ‘분수’예요. 분수는 어떤 것을 똑같이 나눌 때, 나눈 부분이 전체 중에서 얼마만큼을 차지하는지 나타내는 수예요. 부분/전체으로 나타내요. 전체를 ‘분모’, 전체 중의 부분을 ‘분자’라고 하지요.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이 규칙을 계속 고수한 건 아니었고 그 뒤에 수학자들 사이에서도 미지수 x의 사용이 바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 그렇지만 조금씩 시간이 지나면서 스위스 수학자인 요한 베르누이(1667~1748)와 레온하르트 오일러(1707~1783), 독일 수학자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1646~1716) 등 여러 수학자가 서로 서신 ... ...
- [Mathematician] 교수님을 누가 말려! 두 얼굴의 수학자 서검교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외치는 관객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니 무대 위를 휘젓고 다니는 한 남성이 보였다. 바로 렉스트의 보컬리스트 서태웅. 딱 붙는 바지를 입고 손목에 주렁주렁 검은 팔찌를 낀 채, 찰랑이는 긴 머리를 휘날리며 열창 중이었다. 그런데 이날 관객들에게 공연이 끝날 때까지 알려지지 않은 비밀이 있다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고흐의 밤하늘을 비춘 소용돌이의 놀라운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더 천천히 달리는 것처럼 보인다. 이 정체 구간은 서서히 흐르듯 이동한다. 이것이 바로 나선팔이다. 특정 별들이 계속 나선팔에 머무르며 구조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별들의 밀도가 높은 지역이 흘러간다는 의미에서 나선팔은 ‘밀도파(Density Wave)’ 특성을 가진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별들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