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거대함
광대무변
d라이브러리
"
막대함
"(으)로 총 733건 검색되었습니다.
콜레라균 꿀꺽 마신 과학자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라는 세균이 인체에 감염돼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의 하나다. 콜레라 외에 전염병이 인류에게 큰 해를 입힌 것은 중세말의 한센병과 페스트, 17-18세기에 대유행한 발진티푸스와 두창의 예를 들 수 있다. 콜레라는 19세기 1백년 동안 인류를 줄기차게 공격했으며, 이로 인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아파트 단지 내에서 아이들이 킥보드를 가지고 이곳 저곳 다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그러나 바라보는 이의 마음이 편치 못하다. 갑자기 나타나는 자동차나 장애물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과연 왜 그럴까.지난해 히트상품을 꼽으라면 어떤 것이 있을까. 삼성경제연구소가 실시한 조사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화학자들은 어린아이가 마치 레고 블록으로 집을 만들듯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물질을 만들어서 나노세계를 탐색하고 있다. 이 속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있는 것일까. 현재의 기술 한계나 환경 문제를 풀 열쇠가 있을지도 모른다.어렸을 때 미술시간에 조각칼로 목판화에 집, 나무, 그리고 사람얼굴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셀바이오텍은 우리나라 바이오벤처 1호라는 명성에 걸맞게 커다란 성과를 이뤄내고 있다. 특허 하나 가지고 있지 않으면서도 세계 수준의 바이오 기업으로 인정받는 쎌바이오텍의 비결은 무엇일까.1995년 2월 사장과 4명의 연구원으로 설립. 그 해 7월 제1공장 완공. 8월 연구소 설립. 12월 대량생산 ... ...
쥐불놀이에 숨어있는 눈의 속임수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세계를 바라볼 수 있는 눈. 수많은 정보를 한꺼번에 뇌로 전달해주지만, 때로는 움직이는 물체에 쉽게 속아넘어가기도 한다. 생활 주변에서 눈의 이런 성질을 잘 이용한 사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과연 어떤 것일까.정월 대보름날. 모험이와 슬기는 시골에 계신 할아버지, 할머니 댁에 놀러갔다. 반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2001년도 이공계 대학 진학을 위한 심층면접 내용이 화제가 되고 있다. 단순히 교과서에서 암기한 지식을 테스트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과학분야에 대한 통합적 사고를 요구하고, 실생활과 과학의 연관성을 강조한 질문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지난 1월 15일 치러진 서울대 심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10년 후의 미래는 어떨까. 신체특징이 출입증으로 사용되고 인터넷 콘텐츠 복제를 방지하는 것은 기본. 로봇이 만들고 광속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컴퓨터와 농담을 나누는 일이 가능하지 않을까.로봇을 만드는 로봇사람처럼 각종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영특한 로봇을 만드는 일은 로봇 산업의 궁극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금으로부터 1천7백여년 전 동양에도 피타고라스정리에 해당하는 구고술이라 불리는 수학원리가 있었다. 또한 동양수학고전에는 수학문제를 실생활에서 찾고 노래로 접하게 하는 친숙함이 깃들어 있다. 동양수학 최고 고전이며 우리민족 수학의 뿌리이기도 한 구장산술을 만나보자.수학하면 우 ... ...
골프공 최고 시속 3백km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스포츠에는 다양한 공이 등장한다.이들 중에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하는 공은 무엇일까.한때 배드민턴의 셔틀콕이 가장 빠른 것일까.여기 셔틀콕을 능가하는 골프공이 있다.전세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시드니올림픽이 끝났지만 각종 스포츠 경기는 계속되고 있다. 부산에서 제81회 전국체육대회가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막대자석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최근 서울대 현택환 교수(응용화학부) 연구팀은 화학분야에서 최고 권위를 가진 ‘미국화학회지’를 통해 세계에서 가장 작은 자석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이것은 철로 된 막대모양의 나노자석(가로2nm×세로10nm, 1nm=${10}^{-9}$m)으로, 1백K(영하 1백73℃) 이하 온도에서 자성을 띤다.자성을 띠는 철을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