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개발된 MRI 해상도는 최대 1~3mm예요. 하지만 신경세포를 관찰하려면 해상도가 수nm(
나노
미터, 10-9m)까지 좋아야 하지요.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뇌지도를 완성하기 위해 해상도가 더 높은 MRI를 개발하고 있답니다.뇌 활용 연구소아픈 뇌 치료하고, 뇌와 닮은 기계 만든다!뇌지도를 만들기 위해 많은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배성재 교수팀은 식물의 잎에서 직접 전자를 빼내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어요.
나노
미터 두께의 아주 얇은 막에 광합성을 하는 식물 엽록소 세포를 직접 넣어서 햇빛에 쪼인 뒤, 세포에서 나온 전자를 얻는 거예요.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면 커다란 나무부터 물속에 사는 미생물인 ‘조류’까지,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그 전진이 바로 과학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당장 혜택을 받는 쪽은
나노
화학이나
나노
바이오 분야다. 몰은 ‘몰 농도’라는 말처럼 농도를 표현할 때 많이 이용된다. 혈액 속에 아주 작은 단백질이 몇 천개 있다, 몇 만 개 있다라고 말하거나 대기 속의 미세먼지 농도를 표현하고 싶을 때 데이터를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얇은 분자층으로 분리되는 물질을 2차원물질이라고 불러요. 분자층의 두께가 수 nm(
나노
미터, 10억분의 1m) 정도로 아주 얇기 때문에 마치 평면처럼 보이죠. 수북히 쌓여 있는 종이 더미에서 종이 한두 장을 떼어낸다고 생각하면, 왜 그렇게 보이는지 알 수 있어요.사실 그동안 2차원물질은 별 관심을 ... ...
Part 1.[발光하는 테크놀로지] 光의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비추면
나노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색상의 빛을 다시 발산하죠. 양자점 TV는 이런
나노
입자의 크기를 다양하게 만들어 아주 섬세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기존의 LCD TV에서 광원인 LED 램프와 화면 사이에 양자점 필름 한 장만 덧붙이면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 ...
[Life & Tech] 전자 하나의 전류도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중요한 산업이 반도체죠? 반도체가
나노
단위로 작아지면서 옛날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미세한 전류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합니다. 그래야 반도체의 성능도 정확하게 맞추고 불량률도 낮출수 있어요. 수익률에서 큰 차이를 낳지요.”더구나 ... ...
카멜레온 피부색 변화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무늬가 바뀌면서 피부색이 변한다는 것을 발견했지요. 카멜레온이 안정된 상태일 때는
나노
결정이 빽빽하게 붙으면서 파란색 피부를 갖게 되고, 흥분된 상태일 때는 격자무늬가 느슨해지면서 노란색이나 빨간색 피부를 갖게 된다는 걸 알아낸 거예요.연구팀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또 다른 피부층도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전기적 특성을 잃어버리는 단점이 있었다.연구진은 고무재질의 고분자물질과에 은
나노
와이어를 섞은 뒤 이것을 실처럼 뽑아내는 방법으로 1000번을 늘여도 망가지지 않는 스마트 섬유를 만들어냈다. 이 섬유로 스마트 장갑을 제작해 수화를 컴퓨터로 인식시키는 데도 성공했다. 손가락을 구부릴 때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재결합 현상이 일어나 자기력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 다(이를
나노
플레어라고 한다). 작년 ‘사이언스’ 논문 은 이런 현상들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태양관 측선 이리스 호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를 담고 있다. 태양 외곽에서 온도의 역전층이 나타난 다는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성능이 떨어져 아직 상용화에 이르지는 못했다.연구팀은 양자점 초박막필름에 양자점
나노
입자를 도장처럼 찍어내는 ‘음각 전사-인쇄 기술’을 개발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번에 개발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는 2460ppi(1인치당 2460개의 화소)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두께도 머리카락 두께의 40분의 1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