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김"(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작성한다. 고등학생이면서도 한 명의 과학자로 연구를 해나갈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다. 김 입학팀장은 “올해는 3D프린터와 같은 첨단 장비를 활용해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할 수 있는 드림디자인센터를 완공했다”며 “수학과 과학을 정말 좋아하고 즐기는 친구들이 진학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수사대의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이런 이유로 남극 지역에 사는 어류는 항상 풍부한 산소를 얻을 수 있어요. 그래서 생김새나 몸속 기관이 온대나 열대 지방의 어류와는 다르지요. 척추동물 가운데 유일하게 투명한 혈액이 흐르는 남극 빙어가 대표적인 예랍니다.온대나 열대지역에 사는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혈액이 빨간색이에요. ... ...
- Part 4. 나무를 지켜라! 바다에서 온 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4호
- 해조류를 이용해 만든 종이도 등장 했어요. 충남대학교 서영범 교수팀은 우뭇가사리나 김 등의 ‘홍조류’에서 홍조 섬유를 얻어 종이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답니다. 홍조류는 바다 어디에서든지 자랄 수 있고, 두 달 만에 몸집이 4배로 늘어날 정도로 성장 속도가 빨라요.종이를 만드는 과정도 ...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모두 다르다. 2013년부터 4년간 막스플랑크 고체물리연구소에서 연구그룹장으로 있었던 김범준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100개가 넘는 연구 그룹이 서로 다른 연구를 할 뿐 아니라, 다른 대학이나 연구소와 연구 주제가 겹치면 연구단을 만들 수 없다”며 “그만큼 새로운 연구를 지향하는 ... ...
- 20년의 노력, 문화재를 살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20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한 가지에 몰두하고, 마무리 짓는 감회가 어떤지 묻는 질문에 김 연구사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우리가 가진 역량과 노력을 다해서 후회는 없습니다. 이제 끝난다고 하니 텅 빈 느낌이 듭니다만, 우리 문화재 수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것은 분명합니다. 문화재는 살아 숨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15년 8월에 개관한 양산수학체험센터를 비롯해 최근 개관한 밀양수학체험마루, 곧 개관할 김해수학체험센터, 앞으로 건립 예정인 진주와 거제의 수학체험센터까지 총 5개의 수학체험센터 건립 계획을 실행 중이다. 그리고 경남 창원에는 2018년 1월에 체험센터의 중심 역할을 할 경남수학문화관이 ...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주요 국가의 평균 피인용횟수를 넘긴 논문 수로 대체하는 방법도 있다”고 말했다. 김 팀장은 “궁극적으로는 동료평가 방식 등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래 그래프처럼 급격히 증가한다. 고객을 유지하는게 당장의 이익보다 중요한 것이다. 김손님의 요구대로 음식을 새로 줘 단골로 만드는 게 합리적인 이유다. 푸드트럭을 주제로 한 영화 ‘아메리칸 셰프’의 실제 주인공인 로이 최가 취한 전략도 고객생애 가치와 관련이 있다. 로이 최는 SNS에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주론 지지자들에게는 좋은 먹잇감이었다. 그럼 호킹이 이 문제까지 해결했을까. 김 교수는 “이 문제는 아직까지도 빅뱅 우주론이 풀지 못하는 숙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호킹은 수학자 로저 펜로즈가 제안한 설명을 발전시켜서 이런 특이점이 나오는 것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충분히 있을 수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가만히 앉아 기다리는 동안 샘플은 온 학계를 헤엄쳐 다녔다. 한 조각은 동굴곤충학자 김 박사에게로 보내졌고, 다시 현미경 사진의 형태로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의 히라바야시 교수에게 갔다가, 극한 환경의 생명체를 연구하는 다른 과학자들에게로 퍼져 나갔다. 다른 한 조각은 바로 옆 건물의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