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본"(으)로 총 4,8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타워즈의 세계를 엿보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지구 생명체는 탄소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생명체를 이루는 요소인 유기물은 탄소를 기본 골격으로 삼는 화합물이다. 무기물보다 구조가 복잡하고 다양하며, 결합하는 원소에 따라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탄소가 없다면 단백질이나 탄수화물이 있을 수 없다. 우리 몸에서 질량이 두 번째로 많은 ... ...
- [매스크래프트] 할그림스키르캬, 마크로 적분 배워봤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구, 나눌 분, 구할 구, 쌓을 적구분구적법은 면적을 구하기 어려운 도형을 직사각형 같은 기본도형으로 일정하게 나누고 그것들의 넓이를 더해 원래 도형의 넓이을 구하는 방법입니다. 곡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넓이는 어떻게 구해야 할지 막막하잖아요. 그럴 때 구분구적법을 쓰는 거죠. 어떻게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사실을 알아냈죠. 이를 ‘센트럴 도그마(central dogma)’라고 부릅니다. 생물학의 기본 개념 중 하나인 DNA와 RNA를 만화로 재미있고 쉽게 설명해 드립니다. 이번 기회에 DNA와 RNA의 개념을 확실하게 정리해두세요! 최신형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바로가기(92p)“유전자 결함의 89%를 고칠 수 있는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늘리는 데 최적화됐다. 여기에 최근 정보 전파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SNS에 대한 기본적인 믿음도 작용한다. 친분이 있는 지인이 올린 SNS 게시물을 쉽게 사실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 결과 사용자들은 기존에 소비한 콘텐츠와 유사하지만 좀 더 자극적인 내용을 추천받고, 이에 따라 유사 콘텐츠에 ... ...
- [1920~2020, 로봇 100년] 한국 로봇 개발의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높은 성적을 거뒀다. 하지만 공 교수는 지난 대회를 여전히 아쉬워했다. 가장 기본적인 자세인 ‘서 있기’가 불안정하게 설계돼 평소 기량을 다 보여주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는 “2020년 대회를 위해 사용자의 착용감과 제어의 편의성을 보완했다”고 설명했다. 가장 큰 변화는 발목 부분이다. ... ...
- 아이유도 쓰네,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과학동아 l2020년 01호
- AEC는 여러 파동 중 특정 파동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다. 노이즈 캔슬링과 기본 원리는 같다.A와 B가 분리된 공간에서 각자 마이크에 대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각 공간에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돼 있다. A가 ‘아!’라고 외치면 B의 스피커에도 ‘아!’가 들린다. 동시에 이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만들 수 있을까? 답은 ‘만들 수 없다’야. 어떻게 보자마자 알았냐고? 그건 칠교놀이의 기본적인 원리가 바로 ‘분할합동’이기 때문이야.2차원의 다각형 P와 Q가 있을 때, P를 몇 개의 조각으로 나눈 뒤 그 조각을 잘 조립해 Q를 만들 수 있으면, P와 Q를 ‘분할합동’ 관계라고 불러. 칠교놀이는 7개의 ... ...
- [스쿨리포트A+] 이론 실습 연계 보고서 - 멘델의 유전법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다뤄집니다(2015년 개정 교육과정 기준). 특히 중학교 3학년 때 처음 나오는 유전의 기본 원리는 경우의 수, 확률, 통계와 같은 수학적 사고가 필요해 많은 학생이 어려움을 겪습니다. 그래서 중학교 3학년 과학과 고등학교 2학년 생명과학Ⅰ 교과서에서는 유전학적으로 외계인을 구성해보는 유전 현상 ... ...
- 수학으로 본 기후변화의 미래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모두 컴퓨터의 언어로 옮겨 만들지. 예를 들어, 대기와 해양의 운동을 기술하는 방정식의 기본형은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이야. 비선형 방정식으로 뉴턴 제2법칙(F=ma)의 유체역학 버전이라고 볼 수 있지. 하지만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의 정확한 해를 찾는 방법은 아직 아무도 몰라. 이 ... ...
- 윷놀이를 이겨라수학동아 l2020년 01호
- 가치가 큰 결과가 나올 확률은 낮고, 가치가 작은 결과가 나올 확률은 높은 게 게임의 기본적인 원리거든.만약 윷에도 이 원리가 적용된다면 도→개→걸→ 윷→모 순서로 많이 나와야 하겠지. 그래서 오창혁 영남대학교 통계학과 교수는 이 순서를 반영하는 가장 이상적인 윷의 모양을 제안했어.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