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6,876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
과학동아
l
201604
영향을 받아 휘어져 날아온다. 지구에 있는 우리는 이런 휘어진 빛들의 누적된 결과만
보고
원래 은하의 위치를 알아내야 한다. 또 역산해서 지구와 은하들 사이의 공간에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이 어떻게 분포하고 있었는지, 시간에 따라 그 분포가 어떻게 바뀌었는지 계산해내야 한다.중력렌즈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04
엔지니어링은 이론보다 열정”플라스마가 실제 산업에 사용되는 모습을 두 눈으로
보고
싶었다. 이왕이면 잘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분야이길 원했다. 그렇게 찾아간 곳이 열플라스마 가공업체 ‘플라즈닉스’였다. 2월 12일, 인천 남동공단 43B-3L 건물을 찾았다. 10명 남짓의 연구원들과 백광현 ... ...
[Knowledge] 인류세의 시작, 콜럼버스일까 핵폭탄일까
과학동아
l
201604
이를 1400~1600년대 시작된 동식물의 대이동을 대표할만한 기록(표준층서구역)으로
보고
1610년을 인류세의 시작이라 주장했다.최근엔 또 다른 후보가 등장했다. 1945년이다. 이 때 일어난 생물학적 변화는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다. 국제층서위원회는 ‘인류세 소위원회’를 따로 운영하고 있는데, 이 ... ...
[Tech & Fun] 삼성 딜라이트
과학동아
l
201604
현실인지 가상인지 구분이 안 갔다”며 “로봇공학과 가상현실을 접목한 기술을 개발해
보고
싶다”고 했다. 삼성 딜라이트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의 참가신청은 딜라이트 홈페이지(www.samsungdlight.com)에서 할 수 있다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
과학동아
l
201603
터득해갔다.1994년 MIT와 칼텍은 라이고의 건설과 제반 실험사항을 담은 ‘블루북’
보고
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바로 라이고 프로젝트의 초안이다. NSF는 이미 십수 년간 간섭계 기술에 대한 믿음이 있었고, 그 가능성도 알고 있었다. 하지만 이런 큰 규모의 연방예산 승인은 NSF 역사상 처음 있는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
과학동아
l
201603
“반면 불안은 정량적인 측정이 어려운 감정으로 평소와는 상대적으로 다른 행동들을
보고
추정해야 해 연구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편도체도 모르는 공포가 존재우어바흐-위데병(Urbach-Wiethe disease)은 인간의 편도체 기능을 밝히는 데 많은 역할을 했다. 우어바흐-위데병은 혈관 내 칼슘이 증가해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
과학동아
l
201603
집중한다. 수식은 후자에서 더 많이 등장한다. 세상 곳곳에 스며든 수학의 큰 틀을
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기자는 종종 ‘과학감수성’이라는 단어를 쓴다. 어색하지만, 감수성의 사전적 의미가 ‘외부 세계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느끼는 성질’이니 딱히 안 되는 말도 아니다. 이 책의 제목에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03
‘메트릭 학습 기법’으로 사물을 분석합니다. 그 결과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물을
보고
도 기존에 입력받은 사진과 비교해 사물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
수학동아
l
201603
발굴조사를 하던 중 한 목간을 발견하고 2년 뒤 목간에 대한
보고
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
서에서는 이 목간이 물건을 거래할 때 수량을 나타내던 꼬리표로 추정된다고 했습니다.그런데 2016년 1월 20일에 한국문화재재단이 목간에 대해 새로운 발표를 내놓아 화제가 됐습니다. 목간학회에서 ... ...
[숲이야기 둘] 숲을 살리는 겨우살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3
초록색이나 붉은색, 노란색을 띠고 있다면 여러분은 나무에 붙어사는 또 다른 식물을
보고
있는 거예요. 그 정체는 바로 기생식물 ‘겨우살이’랍니다.나무가 없으면 살 수 없는 겨우살이보통 식물들은 스스로 광합성을 하며 살아가요. 하지만 어떤 식물은 제대로 광합성을 하지 못해서 다른 식물에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