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d라이브러리
"
그림
"(으)로 총 3,6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이그노벨상 - 암소가 바닥에 누울 확률은?
과학동아
l
201311
환자가 회복 후에 발기 불능 같은 여러 후유증을 앓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의료진은
그림
과 사진을 예로 들며 접합수술 방법을 아주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다. 논문은 1983년 ‘미국외과저널’에 실렸다.죽은 사람도 받을 수 있는 이그노벨상진짜 노벨상이 산 사람에게만 상을 주는 반면 이그노벨상은 ... ...
[life & Tech] 공감 길러주는 책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311
찾아갔어요.’북유럽의 전래동화인 ‘백설공주’의 한 대목이다. 이 이야기를
그림
책으로 만난 어린이 입장에서 생각해 보자. 도대체 왕비는 왜 사과장수 할머니로 변장했을까. 분명히 독이 들어 있는 사과를 백설공주는 왜 순순히 받아먹었을까. 아이는 이 이상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한참 ... ...
소년이여, 네 멋대로 해라 (이정모 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과학동아
l
201311
위한 화학’이라는 강의를 맡게 됐어요. 조교만 20명 넘는 강의였죠. 저는 고갱의
그림
을 보여주면서 우리는 어디서 와서 어떻게 변하는지, 인체와 화학을 결합한 수업을 했어요. 지도교수가 참 좋아했죠. ‘방송 하면 잘 하겠다’라는 말도 들었어요. 칭찬을 받으니까 우쭐해서 더 열심히 하게 됐죠 ... ...
[체험] 만화영화 감독에 도전하다! 애니메이션 기구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11
그려진 긴 띠를 그 속에 넣고 원통이 돌아갈 때 틈새로
그림
을 보는 장치다. 연속된
그림
을 회전하고 있는 원통의 세로 구멍을 통해서 보면 마치 살아 움직이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 ...
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할까
과학동아
l
201311
불굴의 의지로 감동 스토리를 들려주는 사람들이 있다. 손 대신 입에 붓을 물고 아름다운
그림
을 그려내는 화가들이다. 그렇게 되기까지는 평범한 사람을 뛰어넘는 노력을 했겠지만, 손 역할을 해준 입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다.입은 그만큼 다재다능하다. 많은 동물은 입으로 물건이나 새끼를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11
게 아쉽다고 털어놓았다. 그 당시에는 이공계와 인문계 구별이 분명해서 이공계 학생이
그림
을 그리거나 다른 공부를 해볼 여유가 별로 없었다. 그는 “요즘은 그렇지 않으니 지금 세대는 이런 다양한 경험을 찾아서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여기에 덧붙여 그는 영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화보] 무한 공간을 창조하다 쿠사마 야요이
수학동아
l
201310
3개라서, 이러한 원리로 서로가 서로의 허상을 반사하면서 화려한 무늬가 만들어진다(
그림
❷). 작가는 거울의 개수와 거울이 이루는 각도에 따른 반사 현상을 자신만의 예술로 재탄생시켰다. 거울을 이용해 무한을 표현한 작품 시리즈는 1970년에 시작됐으며, 지금까지 다양한 모양으로 발전하고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1310
점인데, 그게 있어서 흥미로운 모양이 생기고 의미 전달이 가능해지기도 한다.오른쪽
그림
에서 바닥에 그려져 있는 2차원 곡선은 붓이 두 번 지난 점, 즉 특이점을 하나 가지고 있다. 이 곡선의 한 쪽 끝을 잡고 위로 조금씩 올려나간다고 상상해 보자. 그러면 더 이상 특이점이 없는 부드러운 3차원 ... ...
야구 기록,
그림
만 보면 다 안다?!
수학동아
l
201310
하나는 반지름을 기준으로 버블로 나타내 보자. 그러면 오른쪽
그림
과 같이 나타난다.
그림
에서 살펴본 것처럼 기준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결과는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버블차트를 그리고 읽을 때에는 이 점에 주의해야 한다. 한편 홈런을 친 선수 상위 44명을 대상으로 $x$축은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10
가득했다. 큰
그림
안에는 작은
그림
이 있었고 빈 공간마다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졌다.
그림
에는 정교한 체계가 있었다. 이집트의 벽화나 마야의 상형문자처럼 정돈되어 있었다.보는 것만으로 알 수 있었다. 이 방에는 스승이 있었고 제자가 있었다. 이방을 거쳐 간 선배들이 새로 들어온 아이들에게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