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7,52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고방식에도 국경이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개인의 내부 속성만으로도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서양의학에서는
몸
에 이상이 오면 문제를 일으킨 ‘부분’ 을 찾아내 고치는 것이 바람직한 치료법이 된다. 수술이 유독 서양의학에서 일찍 발달했던 까닭이 이 때문이다. 동양의학에서는 특정 부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 ...
조류독감 발생 현황(2월 9일 현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섭취해 생성된 포도당을 세포 내로 흡수하도록 돕는 호르몬 인슐린 의존형 당뇨환자란
몸
에서 인슐린 분비가 안돼 이를 별도로 공급받아야 하는 환자를 말한다 이 환자가 극저열량식을 섭취하면 포도당이 더욱 줄어들어 위험하다 인슐린 비의존형은 철저한 관리를 전제로 한 극저열량식이 효과를 ... ...
열대 곤충과 함께한 6일간의 정글 탐험 리포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곤충’이 아니라 ‘다지류’에 속하는 절지동물로 석회질의 외골격으로 싸여있다.
몸
을 만지면 이내 움츠리며 둥글게 말아 꿈쩍하지 않는다.그밖에도 식당이나 숙소 어귀에 어김없이 나타나는 도마뱀들과 도둑고양이만큼이나 흔하게 돌아다니는 원숭이들은 이곳이 정글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 ...
스트레스는 공포의 기억을 부활시킨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다는 것은 논쟁의 여지가 없다. 심리적인 것이 물리적인 것에 앞선다. 결국 마음이
몸
을 조절하는 것이다.스트레스성 정신질환 치료제 개발스트레스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 분야가 바로 정신신경내분비면역학이다. 4개의 합성어로 이뤄진 만큼이나 복잡하고 종합적인 분야다. 이 분야의 ... ...
극한에서 피운 열정의 꽃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있었던 곳이다. 당시 극지연구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쇄빙선 하나 없이 작은 고무보트에
몸
을 싣고 남극 바다로 나선 대원들의 모습은 큰 충격이자 아픔이었다. 과학에 대한 순수한 탐구 열정만으로 버티기에는 너무나 가혹하고 열악한 환경이었기 때문이다.‘남극 탐험의 꿈’ 은 바로 그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모르겠다.물방울이 뭉쳐 떠다니기 때문에 샤워도 할 수 없다. 때문에 물을 수건에 적셔서
몸
을 닦을 수밖에 없다. 화장실에서 용변을 보는 것은 더욱 큰 문제다. 용변이 나오는 순간 진공흡수기의 스위치를 눌러 빨아들여야 하는데, 초보 우주인은 이 타이밍을 잡기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높이려고 칩의 크기를 줄이다보니 덩치 큰 전자가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서로
몸
을 부딪쳐 정보전달에 실수를 연발하기 때문이다.한국과학기술원(KAIST) 물리학과 이용희 교수는 “빛은 전자에 비해 정보처리의 양과 속도 면에서 월등히 우수하다”며 “만일 빛의 발생과 전달을 우리가 원하는 ... ...
조류에서 인간으로 온 독감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가했을 때 음극 전극에서 방출되는 전자의 빠른 흐름이다방사선을 쏘였을 때 우리
몸
1g에 흡수되는 에너지량골수의 유전적 이상으로 정상적인 혈구세포를 만들지 못하는 희귀한 유전병으로, 유일한 치료법은 건강한 골수의 이식이다DNA를 BAC 클론(10만 염기쌍 정도의 작은 DNA 조각)이라는 조각으로 ... ...
1. 공간_공간의 융합이 시작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곧 단말기가 되는 셈이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인터페이스는 음성뿐만 아니라 섬세한
몸
짓까지도 포착한다. 허공에 비쳐지는 가상 키보드는 이제 미래가 아닌 현실이다. 입력장치뿐 아니라 출력장치도 화면과 프린터를 넘어 홀로그램과 입체 프린터로 확대된다. 입력과 출력은 지금처럼 몇몇 기기로 ... ...
숲이 잉태한 자연과 인간, 숲으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그늘로 수온을 조절해 어린 연어가 살기에 적당한 환경을 만들어주고, 포식자로부터
몸
을 보호하는 은신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그리고 다자란 연어는 자신이 태어난 강가로 돌아와 산란과 동시에 죽음을 맞음으로써 숲속 동물들의 먹이가 되고, 동물들이 먹고 남은 먹이는 다시 숲의 거름이 된다. ... ...
이전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