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필름을 붙이고 형광등에도 자외선 흡수 필터를 부착해야 한다.오래된 그림이나
사진
은 조도를 촛불 다섯 개 정도의 밝기인 50럭스(lux)로, 기름 성분의 안료 덕분에 광선의 영향을 덜 받는 유화는 150lux 내외로 유지한다. 약한 빛이라도 오래 쬐면 그림이 받는 빛의 양이 누적되므로 전시하는 작품을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또 매일 진행되는 교육실험을 녹화한 동영상과
사진
이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스타시티에서 온 편지러시아 가가린우주센터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두 우주인이 과학동아 독자에게 편지를 보내왔다. 이들의 각오를 들어보자.우주를 향한 큰 꿈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위해 머리를 짜냈다. 그리고 마침내 tRNA 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김 교수가 X선 회절
사진
을 찍기 위해 결정을 만든 과정은 염전에서 소금을 만드는 과정과 비슷하다. 바닷물을 가둬 강렬한 햇볕에 증발시키면 소금결정이 만들어진다. 단백질 역시 적당한 수용액에 녹인 뒤 물을 아주 천천히 ... ...
숟가락 속 거꾸로 세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들어오는 빛의 경로를 바꾼다. 그 결과 숟가락에 비친 상은 위아래가 뒤바뀌기도 한다.
사진
속 주인공이 든 숟가락은 일종의 거울이다. 평면거울로 얼굴을 보면, 거울 면에서 빛이 정반사돼 얼굴이 좌우만 뒤바뀐 채 실제 모습과 똑같다. 볼록거울에서는 거울의 곡률 때문에 평면에서 반사된 점보다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망토에 나타나 마치 투명한 것처럼 보인다. ▲ 실제 투명망토의 원리를 적용한 모습.
사진
제공 도쿄대학교MAD 길을잃고헤매게만들거야“거리마다 오고 가는 많은 사람들이 웃으면서 즐기는 크리스마스~.”바보 같은 매드캣! 하필 고제트가 투명 망토를 입고 쇼를 할 때 가서 고제트를 보지 못하고 ... ...
피부 간직한 공룡 화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앞발, 뒷발 등이 피부에 덮여 있죠. 인대와 힘줄도 붙어 있어요. 과학자들은 이 공룡을 CT
사진
기로 촬영하면 속에 있는 내장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칭찬에 어느덧 기분이 좋아진 코파필드. 빙그르르~ 돌다가
사진
한 장을 떨어뜨린다.“
사진
에 있는 배는 동해 울릉분지를 탐사했던 탐사선‘탐해2호’네요. 2007년 6월 19일은 탐해2호가 가스 하이드레이트를 찾은 날인데….”아뿔사! 사실 새로운 마술을 고민하던 코파필드는 우연히 탐해2호에 몰래 ... ...
노벨상은 내 거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4호
“훌륭한 과학자가 되어 노벨상을 받을 테야!”누구나 한 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거예요. 하지만 노벨상을 받은 연구는 너무 어렵고 우리와는 거리가 먼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나요? 찬찬히 살펴보면 우리 생활 속엔 노벨상이 가득하답니다. 어디에 숨어 있는지 함께 찾으러‘노벨사이언스체 ... ...
Parrt I 생물자원 훔쳐가는 생물도둑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Parrt I 생물자원 훔쳐가는 생물도둑생물자원? 생물도둑? 소나 돼지를 훔쳐 간다는 거야? 그게 미래에서 누가 올 정도로 중요한 일이야? 점점 알 수 없는 소리만 하고 있잖아~.영문을 모르겠다는 내 표정을 본 그는 한심하다는 듯 차근차근 설명해 주었어.생물자원이란 사람이 생활하는 데 필요한 생물 ... ...
블럭으로 올록볼록 과학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3호
공간에 딱 맞게 끼워지는 구조지. 처음부터 이런 모양은 아니었어. 아래 왼쪽에 보이는
사진
처럼 단순한 모양이었지. 하지만 1958년에 지금과 같은 연결방법이 발명되었고 특허도 받았단다. 단순해 보이는 발명이지만 세계 곳곳의 어린이들에게 50년 동안 사랑받는 장난감이 되었어. 발명의 위대함을 ... ...
이전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