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천
변이
변경
변질
변동
전환
변환
d라이브러리
"
변화
"(으)로 총 7,906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소리가 보여요!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사인곡선을 그리지는 않지만 목소리의 세기에 의한 진폭의
변화
와 높낮이에 의한 파장의
변화
는 잘 나타난다.소리는 진동수가 많을수록(파장이 짧을수록)높은 소리가 되고,진동수가 같다면 진폭이 클수록 소리의 세기가 크다.그리고 파형은 소리를 내는 물체의 종류에 따라 느낌이 달라진다.이는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아파타이트를 인공 뼈로 쓸 때는 생체에 흡수되는 인산 칼슘 화합물을 섞어서 형태를
변화
시킨다. 그리고 치밀하게 만들지 않고 50-500 μm정도 되는 기공을 만든다. 이것을 뼈에 이식하면 뼈와 혈관이 자라 들어오면서 붙고 골수도 만들어진다. 인공 뼈가 내몸의 뼈가 된다는 말이다.수술 후에 실밥을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1942년 잡지 연재로 처음 시작된 이 대하소설은 사회통계학 기법을 도입해 사회의
변화
를 최소한의 오차로 예측하는 '심리역사학'(Psychohistory)의 개념을 창안한 것으로도 유명하다.1977년 그가 편집 고문으로 참여한 '아시모프의 SF매거진'이 창간됐다. 오늘날 이 잡지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서구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치아와 치아 사이에 적당한 장치물이 들어가면 고유수용기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에
변화
가 생깁니다. 그 결과 이를 악무는 빈도와 시간이 감소하죠. 장치물을 낀 채 이를 갈거나 악무는 경우에도 나쁜 효과가 치아나 턱관절에 전해지지 않도록 보호합니다.L: 이런 장치물을 끼면 빠져나간 디스크가 ... ...
IMT2000 앞에 선 핸드폰의 운명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시장까지 위협하는 이동전화의 변신으로 우리 생활은 또 한번 바뀔 것이다. 이동전화의
변화
와 가능성도 바로 그 안에 있다. 우리 생활에 얼마나 잘 맞게 설계되느냐가 바로 경쟁의 열쇠일 것이다 ... ...
나일론 발명가 캐로더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사진에서 캐로더스가 보여주는 자신감에 찬 모습에서 드러나듯이 실로 나일론은 세계를
변화
시킨 20세기의 위대한 발명 가운데 하나였다.나일론의 개발, 상품화, 판매과정은 성공의 연속이었다. 1934년 처음으로 합성에 성공한 뒤, 1938년 나일론은 ‘석탄과 공기와 물을 합성해 만든, 거미줄같이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다만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각종 혈관과 신경의 구조를 이루는 단백질이 영향을 받아
변화
를 일으키는 것으로 추측될 뿐이다. 대표적인 사례들을 살펴보자.우선 눈의 장애가 생길 수 있다. 당뇨병의 병력이 10년 이상인 환자들의 경우 망막에 있는 작은 혈관들이 약해지고 출혈이 생겨 ‘당뇨병성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아마도 외부 유전자가 유입됨에 따라 머리뼈의 생김새를 비롯한 체질적 특성이
변화
했을 것이다. 이런 연구를 종합하면 한국인의 뿌리는 추운 시기에 동북아시아에 펴져 살던 후기 구석기시대 사람의 한 갈래였으며, 빙하기가 끝나고 신석기시대에 들어서면서 한반도에 고립된 이 갈래에 새로운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기구 자체의 구조는 단순하지만, 계절에 따른 태양의 고도
변화
와 하루 중의 고도
변화
를 정확히 반영하는 정밀시계이다. 때문에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고 첨단 정보에 발빠른 사람들은 앙부일구를 휴대용으로 만들어 몸에 지니고 다녔다. 마치 오늘날 정밀한 스위스제 손목시계를 지니고 다니면서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박교수는 생쥐 대뇌의 좌우반구 중 한쪽에 뇌졸중을 일으키고, 신경기간세포가 어떤
변화
를 일으키는지 관찰했다. 보통의 경우 신경기간세포는 뇌실 아래에서 증식이 시작돼 앞쪽 코부위로 이동해 뉴런으로 분화한다. 그런데 박교수의 실험에서는 이동하는 신경기간세포의 수가 눈에 띄게 줄었다. ... ...
이전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