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백"(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장 깨끗하고 가장 깊으며, 가장 큰 담수호 동 시베리아의바이칼 호과학동아 l1988년 11호
- 3분의 2 가량은 이곳에만 고유한 토착종으로 알려지고 있다. 바이칼호는 담수호로서 3백개 이상의 강물이 흘러들고 있지만 기이하게도 바다표범 같은 해양성 동물도 살고 있는 것이다. 그이유는 어디에 있을까. 이곳이 과거 언젠가 바다에 이어져 있었단 말인가? 이 모두가 연구 과제이다.소련 당국과 ... ...
- 세계에 4천여명, 국내에 50여명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저하된 즉 남성불임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 IVF를 시행하는 동시에 현미경을 보면서 1백분의 1mm 이하의 미세한 주사바늘로 정자를 직접 난자속으로 주입, 수정시키는 것이다.이처럼 시험관아기의 출산은 점점 더 손쉬운 일이 돼가고 있다. 이제 시술은 극히 기본적인 시설과 인원만으로도 가능할 ... ...
- 계획대로 된다면 1995년에 과학위성 발사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우주개발연구에 착수한 외국(독일 프랑스 일본 캐나다 브라질 등)에 비추어 현재 1천3백억달러인 우리나라는 충분한 경제적 여력도 갖춘 셈이다.우주·위성통신산업연구회의 오재건회장(산업개발연구원부원장)은 "우주기술 개발에 뛰어들어야만 우리나라가 자동적으로 선진국에 진입할 수 있다. ... ...
- 집요한 추적, 능률적인 집단해동 늑대과학동아 l1988년 11호
- 사냥 대상의 많고 적음에 따라 순회로의 장단(長短)이 정해지는데 순회로의 연장거리가 1백km가 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요소 요소에 오줌을 누어 방향을 표시해 놓는다. 때로는 산등성이에 대변을 쌓아 놓기도 한다. 순회로 이외의 길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시속 50~65km의 늑대는 ... ...
- 잠수함 만드는데 매혹 조선공학 개척에 평생을 바치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80명, 일제말기에 설치된 이공학부(理工学部)가 40명 등 3개학부에 한 학년 총 입학정원이 2백명이었다. 그중 한국학생은 학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30% 내외였다.가령 나는 1938년 처음으로 모집된 이공학부 제1기생으로 합격하고 예과 3년과 본과 2년반을 거쳐 1943년 9월에 졸업을 하였는데, ... ...
- 올림픽 전산시스팀 완벽 운영과학동아 l1988년 11호
- 17%에 달했다.한편 각국 선수단에게 WINS를 통해 배달된 축하 및 격려전보도 55개국에서 6천6백여통에 달했다.서울 올림픽전산시스팀은 90년 북경 아시안게임 및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활용될 전망이다 ... ...
- 타임-라이프사가 펴낸 환상의 세계과학동아 l1988년 11호
- 편집한 타임-라이프사의 'The Enchanted World'(The Wizards and Witches)라는 책이 나왔다. 한권이 1백40페이지씩 돼 있는 10권짜리 이 시리즈에는 얘기와 관련된 유명화가들의 그림 즉 라파엘, 미켈란제로, 고야 등의 작품도 곁들여 있다.이 책은 읽고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는 동시에 인류의 오랜 전통 각국의 ... ...
- 전자·컴퓨터 지식산업이 세계 지배과학동아 l1988년 11호
- 화가 오르기 이전의 숫자(지난86년)로 볼때 미국은 흑자가 80억달러였는데 일본은 무려 3백80억달러. 미국은 지난 82년에 1백60억달러의 흑자를 냈었지만 4년뒤에는 늘기는 커녕 오히려 반으로 줄어 버렸다.또 투자규모를 보면 일본은 주력업종의 하나인 전자분야에서 80년대 평균 50%씩이나 액수를 매년 ... ...
- 눈·코·귀의 기능을 기막히게 향상시킨 첨단의 센서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과시했다.서울올림픽 최대 다관왕을 목표로 했던 미국의 수영선수 '비온디'는 접영 1백m에서 뜻하지 않게, 수리남의 복병 '네스티'에게 일격을 당하고 5관왕에 머물고 말았다. 이 결과 서울올림픽 최대 다관왕은 동독의 '오토'에게 돌아갔고 올림픽 수영 사상 최초의 흑인 금메달리스트가 탄생한 ...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과학동아 l1988년 11호
- 허치'(Hooakha Huchy)라고 부른 주민들이 있어 22명의 추장이 태고로 부터의 섬의 인구를 약 7백명으로 유지하여 왔는데 이 섬을 최초로 발견한 사람이 옮긴 유행성 감기로 멸망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군도의 하나인 마이루빌리섬 동쪽 해안에는 하이아이에이 다윈 연구소가 설치되어 국제적인 ... ...
이전5445455465475485495505515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