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집
연도
년도
year
d라이브러리
"
년
"(으)로 총 16,63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생물 바이오 공장
과학동아
l
201012
30~60%를 대체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덜란드 위트레흐트대의 연구팀은 2009
년
에 “2020
년
이면 고분자화합물 시장의 최대 90%를 미생물이 만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대사공학을 통한 바이오소재와 바이오연료의 생산경쟁은 국제적으로 치열하다. 앞서 말한 듀폰사 외에도 세계적 농업기업 카길과 다국적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12
항상 정지궤도에서 지구와 함께 자전한다. 이 아이디어가 조금 더 구체적이 된 것은 1960
년
대였다. 러시아의 공학자 유리 아르추타노프는 정지궤도 위성에서 지상을 향해 케이블을 늘어뜨린다는 아이디어를 발표했다. 이 개념이 널리 알려진 것은 1979
년
영국의 SF작가 아서 클라크의 소설 ‘낙원의 ... ...
[한의학은 과학인가?]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12
현대과학의 개인게놈은 서로 만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미국 국립보건원(NIH)에서 20여
년
간 근무한 경험이 있는 김 소장은 “미국이나 유럽은 각국의 전통의학이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면 적극 도입하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집단이기주의로 밥그릇싸움을 하느라 이런 시너지 효과를 못 내는 것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12
F1 머신에 사용된 첨단 기술과 경기 노하우, 드라이버에 대해 관심을 가져본다면 내
년
에 더욱 재밌는 F1 경기를 즐길 수 있으리라 확신한다.150dB의 청각을 자극하는 고음의 엔진 파열음을 들으며 사진기로 찍기 힘들 정도로 빠르게 달리는 F1 머신을 보는 것은 살아가는 데 좋은 자극제가 될 것임에 ... ...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12
센터 뒷산에 올랐다. 축주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의 해군기지가 있던 곳이다. 1945
년
일본이 패전할 때까지 축에 머물렀던 일본군의 흔적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바닷속에도 전쟁 당시의 유해가 발견되기도 한다. 센터 뒷산에 있는 등대도 그때 세워진 곳이다. 우거진 수풀을 지나 20여 분 올라가니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12
못했던 연구를 하게 된다. 호기심은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라고 했다. 유 박사는 청소
년
이 크고 멋진 꿈을 꾸기를 바란다는 소망을 내비췄다. 특히 여학생은 여성이기 때문에 살면서 어려운 문제에 닥칠테지만, 여성이기 전에 한 사람의 인간이라는 생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자신의 개인적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12
군인 한 명이 수십 명의 병사와 맞먹는 힘을 갖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10
년
후인 2020
년
에는 실제로 외골격 로봇이 일부 도입될 전망이다.그러나 아직 해결하지 못한 큰 문제가 남아 있다. 바로 동력 확보다. 생기원의 하이퍼는 6시간 이상 움직일 수 있지만 하루종일 야외 활동을 하기엔 아직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12
연소 실험을 진행했다. 수소를 연료로 이용하는 스크램제트 엔진 기술을 확보한 뒤 2011
년
부터는 탄화수소를 이용한 엔진 개발에 뛰어들 계획이다. 이 밖에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김규홍 교수팀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연구하고 있다.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한 여객기(상상도) 스크램제트 엔진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12
각막 이식은 임상 전 원숭이 실험을 시행하고 있다. 2011
년
에는 신장판막과 각막, 2012
년
에는 췌도 이식의 임상시험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맞춤의학외골격 로봇미생물 바이오 공장자기치료물질우주엘리베이터뇌 기계 접속 기술스크램제트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12
2100
년
에는지구의 생물 가운데 절반이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는 보통 50만~100만
년
이라는 긴 시간 동안 50% 이상의 종이 사라지는 현상을 의미하는 ‘대멸종’보다 더 큰 재앙이다. 대멸종은 생물 역사에서 공룡의 멸종을 포함해 다섯 번 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인류학자 리처드 리키는 인간 ... ...
이전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5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