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MEMS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놀랍게도 이러한 전자기기들은 더 얇고 작아지면서도 기능은 점점 좋아지고 있다. 이를
가능
하게 만들어주는 ‘MEMS’에 대해 알아보자.1 MEMS란 무엇인가요?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 ms)는 기계 및 전자기기를 소형화하기 위해 반도체 및 기계 기술을 융합해 제작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초소형 ... ...
달라진 융합형 과학 교과서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때문이다. 그렇다면 1년 동안 이런 내용 요소들의 개념을 모두 배울 수 있을까? 거의 불
가능
하다. 사실 이 부분은 학생들보다 교사들이 주의해야 한다. 2009 개정 과학 교육과정은 각 내용 요소들의 개념을 모두 가르치고 배우는 것이 목적이 아니다. 뒤에서 다시 얘기하겠지만, 내용 요소의 심도 있는 ... ...
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동쪽 끝에 사는 당신의 몸속에도 우리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아주 조금이지만 섞여 있을
가능
성이 있으니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Part1. 당신은 호모 사피엔스 100%인가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Part3. 2만4000년 전, 네안데르탈인 최후의 ... ...
“가려움증 일으키는 신경은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새로운 가려움증 유발물질과 이에 반응하여 신경신호를 발생시키는 감각신경세포를 국내 연구진이 발견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이성중 교수가 ... 존재한다는 사실을 규명함에 따라 앞으로 감각신경세포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물 개발도
가능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세계 일주 나선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자동차 회사 ‘벤츠’의 수소연료전지차가 1월 29일 세계 일주를 시작했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는 수소연료전지차의
가능
성을 알리기 위해서다. 현재 세계 총 200곳에 불과한 수소충전소를 늘리기 위한 캠페인의 의미도 담고 있다. ...
“비과학적인 매몰 대책이 침출수 문제 불렀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장균이나 바실러스 균 역시 많으면 식중독을 일으킬
가능
성이 크다. 가축이 부패하는 과정에서 가스가 발생해 폭발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매몰 작업을 할 때는 가축의 배를 가르는데 이 과정에서 가축의 몸에 있던 대장균이 침출수에 섞여 나올 수 있다. 또 ... ...
굿 바이! 킬로그램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상수를 이용한 1kg의 정의가 현실적이지 않아 보였다. 그런데 반도체 기술을 활용하면 불
가능
한 일도 아니다.아보가드로 프로젝트는 탄소원자 대신 반도체 혁명의 주역인 규소원자를 이용하고 있다. 규소원자는 원자량이 28이다. 따라서 규소원자로 1kg을 정의할 경우, 아보가드로 상수에 1000/28을 ... ...
Intro. 안녕! 네안데르탈인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들은 생각보다 우리와 가깝고 비슷하며, 심지어 조상일
가능
성도 있다. 한국인도 예외는 아니다.[네안데르탈인(Homo Neanderthalensis) 지금의 중부 및 남부 유럽부터 동쪽으로는 시베리아 남부 오클라드니코프 지역까지 살았던 인류의 친척. 현생인류인 호모 사피엔스와 가장 ... ...
Part2. 다시 쓰는 인류의 진화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변한 예가 있다. 이런 예를 보면 앞으로 수많은 호모 속 인류가 다른 이름으로 통합될
가능
성도 많다.인류 확산은 왜 이루어졌을까?현생인류는 인구가 늘어 환경이 비좁아지자 새로운 삶의 터전을 향해 떠났다. 하지만 정착 생활을 하지 않을 경우 인구가 늘기 어렵다. 아이 때문이다. 아이가 어릴 ... ...
Part 2. 미국까지 3시간, 지구가 좁아진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쓰이고 있고, 수직이착륙 항공기도 이미 실제로 존재하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불
가능
할 것으로 보이는 아이디어들을 실현시키는 게 과학이다. 빛보다 빠르게 날아 시간을 거스르는 타임머신을 상상하는 우리에게 소리보다 빠른 비행기를 향한 갈망은 어쩌면 당연한 것 아닐까.▼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
543
544
545
546
547
548
549
550
5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