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화폐 사이버 머니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002년 5월 월드컵 경기가 열리는
서울
. 홍길동은 가벼운 마음으로 가족들과 함께 한국과 브라질이 맞붙은 준결승 경기를 보러 나섰다. 16강에만 진출해도 충분할 것이라는 국내외 전문가들의 예측을 보기 좋게 깨뜨리고 한국팀이 준결승전에 오른 덕택에 온 나라가 잔치 분위기였고, 준결승전 티켓은 ... ...
머리카락이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3월
서울
대 휴먼애니메이션 연구단은 자연스러운 머리모양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기술인 ‘SNU - HAIR’를 개발했다. 머리카락 하나하나의 변화를 얼굴의 움직임과 바람 같은 외부요인의 작용에 따라 표현해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을 한단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다른 둘 이상의 집단으로 나누어지는 점도 병합이론의 증거가 되고 있다.예를 들면
서울
대학교 이명균 교수팀은 대형 타원은하 M87과 NGC4472에 있는 구상성단의 금속함량 분포가 여러 그룹으로 나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 타원은하가 여러번에 걸쳐 다른 은하를 병합함으로써 여러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이것을 자로 재거나 저울에 달아 높이로 환산해서 우량을 측정하는 것이다. “어젯밤
서울
지방에 30mm의 비가 내렸다”라는 관측보고는 어젯밤 내내 통 속에 쌓인 빗물의 깊이가 30mm였다는 뜻이다.콜럼버스의 달걀측우기(測雨器), 글자 그대로 ‘비가 온 양을 측정하는 기구’이니 오늘날의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한 곳은 마크로젠이다.1997년 6월 유전자 조작을 통한 생쥐 생산과 DNA칩 개발을 표명하며
서울
대 의대 서정선 교수가 세운 회사다.올해 2월22일 대학내 벤처로서는 처음으로 주식장외시장(코스닥시장)에 등록한 후 주가가 정보통신분야 벤처 못지 않은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일례로 이 회사 주가는 3월 ... ...
돼지 복제 성공으로 장기이식 길 열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여기에 있다.한국의 경우 이 분야에 관한 연구가 세계 수준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서울
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는 “국내에서도 형질전환돼지를 복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고 말하며 “3년 후 정도면 좋은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어쩌면 선진국보다 빨리 장기이식용 ... ...
자신감으로 똘똘 뭉친 터프 가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고친다면 약을 만드는 일은 더 많은 사람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서울
대 약대를 80명중 78등으로 입학했지만 열심히 할 수 있었던 것도 자신만의 꿈이 있었기 때문이다.김소장이 항암제에 관심을 가진 것은 대학원 때 잠시 약국을 경영하면서다. 유학갈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 ... ...
한국은 복제동물 최강국?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사실 복제소 얘기는 우리에게 이미 낯설지 않다. 1999년 2월
서울
대 수의학과 황우석교수가 한국 최초(세계 5번째)로 복제 젖소 영롱이를 만든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국내에서 복제동물이 탄생했다는 소식이 언론을 통해 보도됐다. 같은해 3월 황교수에 의해 복제 한우 ... ...
소를 사랑한 복제의 마이다스 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소와 관련된 공부를 해야겠다."황교수의 꿈은 어렵지 않게 이뤄질 수 있었다.1972년도에
서울
대 수의학과에 지원한 것이다.당시 수의학은 인기가 없는 학문이었다.요즘 황우석 교수 연구실에 들어오기 위해서 치열한 경쟁을 해야하는 상황과는 1백80도 차이가 난다.입학 당시 1지망,2지망,3지망을 ... ...
발상의 전환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상대방에게 미안한 줄은 알지만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고 하니 어쩔 수 없는 모양이다.
서울
대 이공계열로 들어온 노태원 교수는 막연하게 공학을 공부하고 싶어했다. 그런데 전공을 정할 때 지도교수이던 최병두 교수가 물리를 해보고 대학원에 가서 공학을 해도 좋을 것이라고 조언하는 바람에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