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억울
분통
원통
원기둥
분업
분장
분말
d라이브러리
"
분
"(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쿄국제판타스틱 영화제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위해 단편경쟁인 ‘디지털쇼트상품 600초’를 기획했다”고 말한다. 600초, 즉 10
분
이라는 제한된 시간 내에 1초의 과부족 없이 영화를 만들게 함으로써 재능과 끼를 겸비한 크리에이터를 발굴해내려는 것이다.이런 노력으로 작년 그랑프리 수상작은 국내외의 여러 영화제에 초대되는 성과를 ... ...
과학동아가 선정한 2004년 하이테크 20選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유아에게 초점을 맞춰 높이 65cm, 무게 15kg의 아담한 크기로 디자인했고, 모서리 부
분
은 둥글게 처리했다. 센서가 내장돼 있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하고, 배터리 상태를 감지해 충전할 때가 되면 자신이 알아서 충전하는 똑똑한 로봇이다.인터넷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능은 물론, 책 읽어주기, 현관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왼쪽의 냅킨을 집어 어색한 상황이 종료된다.뇌량(corpus callosum)좌우 대뇌반구가 연접된 부
분
으로 신경섬유의 큰 집단이다. 좌뇌와 우뇌의 의사소통 통로다. 뇌량이 절단된 사람은 정보를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과제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와 생명 탄생의 ... ...
'입자물리학의 메카' CERN 50주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있다. CERN은 찾아오는 사람을 언제나 환영하는
분
위기다.” 백 박사의 대답이다.이같은
분
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CERN은 과학자들에게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교육 및 커뮤니케이션 책임자인 길리스 박사는 “CERN을 방문하는 사람들을 안내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곳에서 연구하고 ... ...
수증기 먹고 쑥쑥 자라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산화제로 물을 생각했다. 왜냐하면 물은 탄소와 쉽게 반응해 일산화탄소와 수소
분
자를 만들기 때문이다.하타 박사는 나노튜브의 원료인 탄화수소에 물을 가하면 물이 촉매 입자들을 방해하는 비정형 탄소와 반응해 나노튜브가 계속 자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때문에 촉매 입자들은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먹는데는 이 방법이 더 쉽다.그렇다면 부리가 어긋나는데 일정한 방향이 있을까. 유럽에
분
포하는 솔잣새는 모두 위쪽 부리가 오른쪽으로 휘어져 있다. 반면 북아메리카에 사는 솔잣새는 윗부리가 왼쪽으로 휘어져있다. 즉 부리가 어긋난 방향은 진화의 과정에서 우연히 택해진 것이다.▼관련기사를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가로등에 가려 우리 눈에서 사라져버린 별의 수는 자그마치 2000여개다. 현재 세계인구의 5
분
의 1은 은하수를 볼 수 없는 곳에 살고 있으며, 황도 12궁의 별자리마저 온전히 볼 수 없다고 한다. 게다가 광공해 때문에 천체 망원경의 해상도까지 심각하게 떨어져 천문학자들은 연구에 난항을 겪기도 ... ...
쌍둥이 도형 만드는 렙타일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혹시 모든 렙-4 다각형이 항상 렙-9 다각형이 됨을 증명했거나 그 반례를 발견하신
분
은 필자에게 메일을 보내주기 바란다. 새로운 렙-4 오각형을 발견한 경우도 마찬가지 ... ...
1만8000년 전 신종 인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1m 정도이고 두개골의 용적이 현생 인류의 3
분
의 1도 안되는 신종 인류의 화석이 발견돼 화제다.인도네시아 자바 동쪽 500km에 있는 플로레스섬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이 화석은 지금까지 알려진 인류 가운데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다. 더 놀라운 사실은 이 화석이 불과 1만8000년 전의 것으로 밝혀진 것. ... ...
나노
분
자로 테라급 소자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연구, 광전자소자와 바이오칩을 개발하는 연구 등 기초와 응용기술이 다양하게 필요한
분
야의 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한편 정 교수는“아직도 학생과 연구자들 사이에서 독창적인 기술은 선진국에서 나오고 우리나라는 이를 답습한다는 의식이 팽배해 있다”며 “우리도 세계 최고가 될 수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