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족한 백신, 누구에게 접종?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그렇다고 무작위로 예방접종하는 것은 소용없는 일이다.이스라엘 바-일란대 코헨
박사
는 무작위 방법에 약간 변형을 주면 질병차단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음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냈다. 우선 무작위로 사람을 뽑은 후 이들에게 친구를 대라고 한다. 그리고는 불려진 사람들에게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의미한다. 그렇다면 간격 타이머는 어디에 존재할까?미국 위스콘신의대 스티븐 라오
박사
와 동료들은 시간의 경과를 추정케 하는 실험을 진행하면서 참가자들의 뇌활동을 기능성자기공명영상법(fMRI)으로 측정했다. 참가자들은 두쌍의 음을 듣고 나중에 들은 것이 처음 음보다 짧은지 긴지를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흑인은 유전적으로 매우 가까운 사촌간이다.유전학자인 미국 스탠포드대 노아 로젠버그
박사
는 전세계 52개 지역, 1천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간 게놈에서 진화의 지표가 되는 3백75곳의 변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인류는 유전적 유사성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뉜다. 즉 사하라 사막 이남의 ... ...
야생에서 배우는 인간을 위한 생존전략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냉혹한 자연선택의 과정을 거쳐 종을 유지하고 진화해온 비결이기도 하다. 신디
박사
는 동물들의 자기치유능력에 관심을 갖는 일이야말로 인간이 건강을 향상시키는 최선의 방법을 얻을 수 있는 길이라고 믿고 있다 ... ...
인간 앞에 서면 작아지는 뿔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정해진 상태에서 사냥꾼들이 돈을 많이 받을 수 있는 큰 뿔을 선호했기 때문이다. 콜트먼
박사
는 “큰 뿔은 크고 건장한 수컷의 징표”라며 “이 녀석들이 짝짓기를 왕성하게 할 시기가 되기도 전에 도태됨으로써 보잘것없는 수컷의 자손들이 늘어났다”고 말한다.실제 최근의 숫양들은 암컷을 ... ...
미인 앞에선 셈 못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보자 손해보는 전자를 택했다.여성의 경우는 항상 이익이 큰 후자를 선택했다. 윌슨
박사
는“남성은 자신이 원하는 여성을 만나면 곧바로 구애하기 위해 적은 액수라도 당장 돈을 원한다”고 말한다. 당장 제공할 것을 갖고 있는 남성이 여성을 선택할 때 유리하기 때문에 남성의 뇌가 그렇게 진화돼 ... ...
기능성 쌀 등장으로 다시 주목 받는 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품종이 개발돼 그 종자가 실제 농가에 보급되는데는 10여년이 걸린다. 작물시험장 황흥구
박사
는 “1990년대부터 기능성 쌀 시대를 예측해 새로운 품종을 개발해 왔다”며 “앞으로 수년내에 여러 종류의 기능성 쌀들이 식탁에 오르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알레르기 유발물질 적어최근 식생활이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천여명이 모인 이 자리에 참석했던 영국 BBC 뉴스의 과학편집자인 데이비드 화이트하우스
박사
는 지난 10월 21일 이 교수의 연구결과를 뉴스로 소개했다.“한동안 정신이 없었습니다. 르몽드를 비롯해 전세계 언론들이 취재를 요청하고 저희 연구결과를 소개하더군요.” 이 교수는 무엇보다도 이제 ... ...
'생물의 다살이' 낸 강원대 권오길 교수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중학교 2학년 국어교과서 p.205208)문학가의 작품처럼 유려한 문체를 지닌 이 글은 달팽이
박사
로 유명한 권오길 교수가 쓴 ‘사람과 소나무’의 일부다. 과학자의 글이 국어교과서에 실린 것은 이례적인 일이지만, 사실 권 교수는 과학수필가로 불릴 만큼 소문난 글쟁이다.난 글을 쓰지 않으면 아픈 ... ...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패럿, 사스바이러스에 취약네덜란드 에라스무스의학센터 바이러스연구소 오스터하우스
박사
팀과 홍콩의 연구자들은 집고양이와 페럿이 사스바이러스에 감염될뿐더러 다른 동물들도 감염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10월 30일자에 발표했다. 페럿은 족제비과의 동물로 최근 인기를 끌고 ... ...
이전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5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