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코리아
korea
대한
남한
Korea
대한 민국
d라이브러리
"
한국
"(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없는 범인 잡는 심리수사기법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드라마 ‘혼’은 억울하게 죽은 소녀의 영혼이 여고생인 윤하나(임주은 분)에게 빙의된 뒤 살인자에게 복수한다는 다소 비현실적인 이야기를 그린다. 하지만 범죄심리분석 ... 행정학과 교수를 맡고 있다. 범죄학, 범죄심리학, 피해자학을 연구하며 저서로는 ‘
한국
의 연쇄살인’이 있다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월 18일부터 20일까지 열린다. 경남 창원시가 주관하며, 2009 세계 천문의 해를 기념해
한국
천문연구원의 찾아가는 천문대‘KB 스타 카’를 이용한 천체관측 프로그램과 강연, 음악 공연, 고산 우주인 특강 등 다채로운 순서가 마련돼 있다. 장소는 창원컨벤션센터 ... ...
왜 2000원짜리 돈은 없을까?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용도로 쓰이고 있습니다.우리나라에 2000원 지폐가 있다? 없다?
한국
은행은 2001년 6월 13일 '
한국
은행 화폐금융박물관' 개관을 기념해 유통목적이 아닌 2000원권 지폐를 발행한 적이 있습니다. 2000원권을 새로 만든 것이 아니라 1000원권 2장이 상·하로 붙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사용 ... ...
대한민국 육종학의 아버지 우장춘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모를 듯싶었다. 정문 앞에는 웬 우물이 하나 있다.“우장춘 박사가 육종 연구를 했던
한국
농업과학연구소 자리가 바로 여기예요. 지금은 연구소는 없어지고 우 박사가 만든 이 우물만 남았죠.”이곳 박미아 과학문화해설사의 설명이다. 우 박사는 당시 이 우물에서 물을 길어다 육종 연구에 썼다고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따르지 않고 모계(母系)로만 전달된다는 사실을 알아내 7월 1~3일 대전에서 열린
한국
육종학회 40주년 기념 심포지엄에서 발표했다.멘델의 유전법칙에 따르면 양친을 교배했을 때 양친의 형질이 섞인 다양한 자손이 나온다. 그러나 연구팀이 냉해에 잘 견디는 오이(저항성)와 취약한 오이(감수성)를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보고 따라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영국 더럼대 인류학부 제레미 켄달 박사팀은
한국
과 일본의 하천에 많이 사는 잔가시고기(Pungitius pungitius)가 사람처럼‘사회적 습득 능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지금까지 전문가들은 동물 중 유일하게 사람만 다른 이의 행동을 보고 배워 따라한다고 ... ...
일본 작가 카가야가 그린 밤하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상영되고 있다. 두 번째 작품 ‘우주일직선’도 1주일 전에 완성했다. 이 작품들이
한국
의 플라네타륨에서도 상영되길 바란다. 지금은 도시의 밤이 워낙 밝아 별을 제대로 보기도 어렵다. 결국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떨어지지 않을까. 물론 내가 어렸을 때와 비교해보면 맨눈으로 관측하는 환경이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로 떨어졌다”며 “백신 접종 덕분에 세계 최고의 B형간염 감소 효과를 보인 나라가 바로
한국
”이라고 말했다. 그는 “특히 국내 영유아 보균자 비율은 0.2% 이하로 떨어졌다”고 덧붙였다.음식이나 물로 전파되는 A형간염 바이러스와 달리 B형간염 바이러스는 혈액을 통해 감염된다. 국내 B형간염은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고산지대에 의학센터를 세워 놓고 기상 변화를 관측하면서 인체생리학도 연구하죠.
한국
과학자들은 한 번도 못 봤습니다. 이산화탄소 줄이자, 줄이자 하면 뭐 합니까? 실천을 해야죠. 이론만 박사면 아무런 소용이 없어요. 현장을 알아야죠.”기후변화 전도사 자청한 탐험가엄 대장은 청소년에게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미만으로 우수하다”며“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조만간 상용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
섬유개발연구원에서는 2004년 모기 눈이 빛을 반사시키지 않는 특성을 본떠 ‘슈퍼블랙’이라는 새로운 색깔의 섬유를 개발하려고 시도했다. 일반 섬유 표면에 마이크로미터(μm) 단위의 홈을 규칙적으로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