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위치
소재지
공간
자리
현장
집
d라이브러리
"
곳
"(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입장을 나타냈다.그는 “성공가능성이 낮은 도박”이라며 “차라리 그 비용을 다른
곳
에 투자하면 훨씬 양질의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하인버그 연구원은 “지금보다 태양과 풍력에너지가 1000배 이상의 효율을 가진 상황이 와도 석유시대와 같은 에너지 풍요가 ... ...
첨단 과학과 예술이 만나 들려주는 바다 이야기, 코르디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대해 다양하게 알고, 그 감성에 흠뻑 젖어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꼭 한번 와볼 만한
곳
이다.관람 예약은 한국해양연구원 홈페이지(www.kordi.re.kr)에서 할 수 있다 ... ...
국내 최대 공룡알 화석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공룡알 화석이 발견된 것이 시작으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어요. 아직도 남해안
곳곳
에는 많은 공룡 화석이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의 발굴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한반도 공룡에 대해 더 많은 비밀을 알고 싶나요? 저도 무척 궁금하답니다. 미래의 공룡학자인 친구들이 자라서 모든 비밀을 밝혀 ... ...
문화재를 되살려라!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존 처리 재료를 이용해 부서진 부분을 붙여 주고 약한 부분을 보강해. 그런 뒤 안전한
곳
에 보관하면 비로소 치료 작업이 끝나.아, 마침 지금 녹과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한창이네? 가까이 가서 보자. 금속 유물에서는 녹 제거가 중요!이 유물은 전라남도 고창군에서 발견된 백제 시대 금동 ... ...
죽음과 맞바꾸는 치명적인 맛 황복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했던 황복이 점점 사라져가고 있다. 황복은 자갈이 깔려 있고 조수의 영향을 받지 않는
곳
에서 알을 낳는다. 이 때문에 산란기가 되면 좋은 환경을 찾아 강물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지금의 강바닥은 부유물로 뒤덮이고 물에서는 악취가 풍긴다. 무분별한 골재채취로 인해 자갈밭을 찾는 일이 ... ...
계획 없이 하는 공부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걸어온 길경북 Y고 A학생“얼마 전 대전 대덕연구단지와 KAIST에 견학을 가서, 꼭 그
곳
에서 공부하고 연구하고 싶다는 걸 느꼈습니다. 하지만 제가 내세울 것이라고는 사교육을 덜 받았다는 것뿐입니다. 과연 제가 할 수 있을까요?”구구절절 긴 사연을 보내온 A학생은 이공계로 진학하고 싶은 마음에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달리, 0.8~28μm 대역의 적외선으로 우주를 관측한다. 적외선처럼 빛의 파장이 길수록 더 먼
곳
에 있는 물체를 볼 수 있다. JWST가 초기 우주의 비밀을 풀 것이라고 기대하는 이유다. 실제로 허블이 나이가 수십 억 년인 우주의 모습을 보여준다면 JWST로는 3~5억 년일 때까지도 관측할 수 있다. 현재 우주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의존하던 이론을 실제 영상으로 확인시켜 줬다. 우리가 볼 수 있는 가장 깊은
곳
까지 관측함으로써 빅뱅이론의 증거도 제시했다.최근 이 교수는 미국 볼티모어 ‘허블우주망원경 과학연구소(STScI)’에서 열린 허블펠로우 학회에 다녀왔다. 전 세계 허블펠로우들이 모여 연구 내용을 교류하는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건물 10채 중 7채가 지진에 취약하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특히 도로와 골목이 좁고 부족한
곳
일수록 지진으로 화재가 났을 때 큰 피해를 입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은 상황은 동대문구와 유사한 환경을 가진 서울 강북 지역의 다른 구에서도 똑같을 수밖에 없다.2월 25일 공군회관에서 열린 한반도 ... ...
소리보다 빠른 스카이다이빙 성공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상징인 그리스도상, 깊이만 190m에 이르는 컴컴한 동굴까지 뛰어내릴 수 있는
곳
이라면 가리지 않는다. 그가 이번에는 색다른 모험에 도전하기로 했다. 헬륨을 채운 기구를 타고 성층권인 고도 3만 6576m까지 올라가 지상을 향해 뛸 예정이다. 이는 U-2 정찰기가 날아다니는 고도보다 약 16km나 높다.이 ... ...
이전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5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