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뉴스
"
미국
"(으)로 총 24,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산업 리포트] 아시아 인공위성 비즈니스 위크 2022
2022.06.10
거쳐 디지털뉴스팀장을 지냈다. 한국기자협회 국제교류분과위원장을 지냈고 2021년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에 합류해 서울지국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
7월 도입되는 코로나 예방용 항체치료제 '이부실드'는 어떤 약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2.06.10
통해서 면역을 형성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가장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밝혔다.
미국
식품의약국(FDA)도 지난해 12월 이부실드를 12세 이상의 감염 이력이 없는 사람 중 중등도 이상의 면역저하자이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으로 적절한 면역반응 유도가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는 사람에 대해 승인했다. ... ...
엄숙한 순간에 터진 코미디 상황
팝뉴스
l
2022.06.09
사진이다. 해외 네티즌들은 폭소하게 만든 포인트는 사진 속에서 어느 것일까?
미국
의 해안경비대에서 지휘관을 교체하는 행사를 하고 있었다고 한다. 아주 엄숙하고 진지한 상황이었다. 그런데 뜻밖의 일이 일어났다. 단상에 있던 한 사람이 뒤로 나자빠진 것이다. 사진 촬영자의 ... ...
'제임스웹' 우주망원경 운용에 들어가기도 전에 유성체와 충돌… 주거울 조정해 성능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이번 충돌은 예상 범위를 넘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을 개발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망원경의 거울을 일부 조정했으며 성능에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9일 NASA 블로그와 더버지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3일부터 25일 사이 미소 유성체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주경을 ... ...
스마트폰을 변기에 버린 범인
팝뉴스
l
2022.06.09
제공
미국
의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주목 받은 사진이다. 누군가 엄마의 폰을 화장실 변기에 수장 시켰다. 아이 셋 중의 한 명이 범인인데 증거가 없이 야단을 칠수는 없었다. 하지만 사진을 뒤져보니 곧 범인은 밝혀졌다.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는 아이가 천진스러운 표정이어서 더 ... ...
"테슬라 오토파일럿, 안전성 개선 입증 자료 아직 없다"
연합뉴스
l
2022.06.09
LDWS) 등과 같은 구식 안전기술이 더 안전하다는 역설적 상황도 나온다.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에 따르면 이런 구식 기술들이 안전성을 개선했다는 연구 결과는 있지만, ADAS가 유사한 혜택을 제공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연합뉴스TV 제공] 연합뉴스 ... ...
미국
·영국서 원숭이두창 확산 억제 위해 천연두 백신 접종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접촉이 늘어나면 밀접 접촉자 추적이 어려워져 조기 접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미국
은 감염자와 밀접 접촉해 바이러스에 노출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2세대 또는 3세대 천연두 백신을 접종하고 있다. CDC는 노출 후 4일 이내에 천연두 백신을 투여하면 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 ...
모더나 새 백신 오미크론에 효과 확인…"부스터샷 1년 한 번" 기대감 '솔솔'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밟는 점을 고려했을 때 새 백신이 올해 가을 전 도입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한편
미국
화이자사도 오미크론 전용 백신을 개발 중이며 조만간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 ... ...
미 연구진,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맞서는 항체 30종 추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감염된 쥐 모두 폐에서 바이러스 수준이 현저히 낮아졌다. 레이에스 안드라비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면역학및미생물학부 연구원은 “백신 접종을 통해 이런 항체들을 유도할 수 있다면 다양한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한 광범위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 ...
사람처럼 느끼고 상처 치유 가능한 인공피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6.09
밝혔다. 왼쪽부터 연구에 참여한 김정 KAIST 교수, 박경서 KAIST 연구원, 육현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박사후연구원, 양민진 KAIST 박사과정생, 조준휘 KAIST 박사과정생, 이효상 독일 슈튜트가르트대 교수. KAIST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