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공업화학이나 화학공학과는 적어도 일정한 간격이 있어 보이는 유전·생물공학에 입문하면서…4년의 대학생활을 마치고 대학원생이 된 지도 벌써 7개월이 되었다. 관악산을 ... 더욱더 많은 연구원과 기술자가 요구되고 있다. 창의력을 가진 후배들을 유전·생물공학의 세계로
초
대한다 ... ...
자유로이 에너지형태 바꾸는 현대판 부싯돌 압전 세라믹스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우리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의학 진단용으로도 이 압전체를 이용한
초
음파 발생기가 사용되고 있다. 몸의 각 부분의 밀도 등이 다르므로 그 경계면에서 반향이 생기며 이를 이용하여 진단을 하는 것이다. 또 아주 작은 소자를 혈관에 투입시켜 심장의 박동에 따른 혈압을 측정하기도 ... ...
PART Ⅱ 태양의 8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양쪽 뿌리를 두고 솟아오른 아치 모양의 코로나루프(loop)를 형성한다. 그러나 드물게는
초
고속 저밀도 태양풍이 자유롭게 빠져 나갈 수 있게 한다. 자기장은 우주밖으로도 일부 열려있는 것이다.이처럼 열려진 자장을 따라 물질과 에너지가 태양풍의 형태로 빠르게 빠져나가기 때문에 그 지역은 차고 ... ...
양자물리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입자의 운동량과 위치(또는 에너지와 시간)를 동시에 알 수는 없다(h=6.6×${10}^{-34}$J·
초
).9. (2)인공위성이 지구와 같이 중력으로 끌어당기는 물체 주위를 선회하기 위해서는 각 운동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원자내부의 전자는 단지 원자핵을 통과해 왔다 갔다 하거나, 원자핵 주위를 원운동하는 ... ...
가장 약한 파(波)―중력파 The Weakest Wave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그것은 중력파가 지구의 한쪽 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갈때 빛의 속도로 진행하므로 1
초
의 23분의 1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런 시차를 검토함으로써 중력파가 오는쪽으로 방향을 잡는게 가능해 질수 있다.이 연구팀은 이런 거대한 실험을 하기 위해 모금을 하려고 노력하는 중이다.Is it possible to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수입할 뿐이었으나 앞으로는 수출도 할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교육은과학기술발전의 기
초
중국에서는 고등교육기관인 대학에의 진학률이 아직도 낮다. 그 고등교육은 국력과 인력을 고려하여 서서히 확대하여 갈 계획이다. 고등교육의 한 방법으로 텔레비전교육도 검토하고 있다. 2~3년간 ... ...
당신도 PC통신 유저가 될수 있다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이 서비스는 우리나라 최
초
의 전자사서함이라는 역사적인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초
창기의 PC 통신광들을 키워냈다는 의의도 함께 가지고 있다. 전자사서함 서비스는 정보은행 서비스와는 달리 사용자가 수동적인 입장에서 증권정보나 보는 차원이 아니라 자기가 직접 참여하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 ...
찾아낸다면 엄청남 기술적·경제적 이익 얻어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예산이 소요돼 달의 극지탐험계획은 실현되지 못했다. 전문가들은 만약 60년대나 70년대
초
에 과학자들이 생각한대로 탐험계획이 추진되었다면 지금은 달의 극지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 판가름이 났을 것이라고 말한다.그러나 최근 달을 기지로 만들려는 노력이 강화되면서‘달에서 물찾기’계획이 ... ...
실생활에 긴요한 제품의 홍수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HTS 50CF스피커 시스팀과 좌우쪽 서라운드 스피커인 HTS 50LRS는 좋은 콤비네이션을 갖게해
초
저음용 우퍼인 HTS 50SW와 함께 최고의 사운드를 연출시켰다.신호를 재생시켜주는 파워앰프로는 두 채널용인 HTS-50SPA를 사용하도록 했다. 모든 기능을 조절해준 HTS 5300 제너레이션III 데코더는 이 시스팀에서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우리나라 인공장기의 선두주자는 인공심장이다. 서울대 의공학과 민병구박사팀은 88년
초
우리 체형에 맞는 전기구동식 인공심장을 개발했다. 이를 생후 4개월 된 송아지에 이식수술한 결과 나흘간 양호한 상태를 보이며 생존했다. 미국의 특허를 획득한 이 한국형 인공심장은 기존 인공심장이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