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포토
포토그라피
그림
화상
초상
회화
형상
d라이브러리
"
사진
"(으)로 총 7,556건 검색되었습니다.
장거리 이동하는 나방, 방향 찾는 법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곤충학자 제이슨 채프먼 박사는 영국에 사는 ‘비녀은무늬밤나방’(Autographa gamma,
사진
)이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유형을 관찰하고 그 결과를 ‘사이언스’ 4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비녀은무늬밤나방은 유럽과 아시아 지역에 사는 곤충인데, 영국에 사는 종은 겨울이 되면 번식하기 위해 남쪽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손놀림이 바빠졌다.도킹 예정 1시간 전. 관제실 화면에 소유스 호에서 보내온 ISS
사진
이 나타났다. 소유스 호는 30여 분에 걸쳐 초속 수~수십cm 속도로 조심스럽게 ISS에 접근했다. 1초에 7.4~8km 속도로 지구 주위를 도는 ISS와의 도킹은 러시아와 미국만이 보유한 최첨단 정밀 제어기술에 속한다.오후 9시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만든 정밀한 3차원 지도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버추얼어스는 더 많은 항공
사진
을 확보해 서비스 지역을 넓혀 나간다는 전략으로 응수하고 있다. 지구 영상지도 쥐는 자, 미래를 얻는다네티즌들은 일단 구글어스의 지상 3차원 맵핑 방식이 사용하기에 더 편하다는 평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 ...
봄날의 달빛을 좋아하세요?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가장 오른 쪽에 보이는 검은 부분이 ‘위난의 바다’에요. 아래쪽에 풍요의 바다가 보이죠? 그 위 그림자에 반쯤 가린 부분이 ‘맑음의 바다’에요.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처음 발 ... 진다. 근처 천문대를 방문해 망원경으로 달과 화성의 조우를 카메라로 찍어보자.독자
사진
... ...
PART2. 공부전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느꼈을 때는 감정을 담당하는 부위가 활발해졌대.*PET :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사진
으로 찍을 수 있는 기술. 즉 공부할 때 뇌에서 생각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 부위가 더 활발해지기 위해서는 ①번 같은 인지적 재미를 느끼면서 공부를 하는 게 더 좋다는 거지.따라서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그냥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지난 2월 17일은 남극 세종기지가 세워진 지 20년이 되는 날이었어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늦게 남극 연구에 뛰어 들었지만 그 동안 세종기지를 거쳐 간 대원들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해 우리나라의 극지 연구는 선진국을 점차 따라잡고 있답니다. 사람이 살기 어려운 극한의 환경에서도 열정적으로 ... ...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년 05호
중요하다. 유적지 영상을 콘티대로 찍기 때문이다. 그래서 콘티는 ‘디지털 복원의 청
사진
’으로도 불린다.3단계〉 유적지 촬영콘티를 바탕으로 현재 남아있는 페르세폴리스 유적을 고해상 HD 캠코더로 촬영한다. 현재 남아있는 유적의 모습이 2500년 전 페르세폴리스의 원래 모습으로 전환되기 ... ...
오리온자리의 '말머리성운'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김 씨는 지난해 말 강원도 횡성군에서 오리온자리의 암흑성운인 ‘말머리성운’을 찍은
사진
을 출품했다. 심사위원장인 이용삼(천문우주학) 충북대 교수는 “대상작은 빨강(R)·초록(G)·파랑(B) 필터 외에 특수필터(Hα 필터)를 사용해 말머리처럼 우뚝 솟아있는 암흑성운의 세부를 잘 포착했다”고 ... ...
고산 미스터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취한 이
사진
은 가가린우주센터에서 공식적으로 찍는
사진
으로 잠깐 바꿔서 훈련한
사진
을 배포할 리는 없었다. 혹시 탑승우주인과 예비우주인이 바뀐 건 아닌지…. 3월 8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문의를 했지만 그런 사실은 없다고 했다. 하지만 동아일보는 이틀 뒤인 3월 10일 탑승 우주인이 ... ...
도시의 목덜미에 떨어지는 굵은 빗방울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불안정한 대기 속에서 순식간에 만들어졌다 사라진다. 기상청이 개최한 제25회 기상
사진
전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이용호 씨의 ‘국지성호우’는 바로 이 짧은 순간을 포착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서울과학종합대학원 환경경영연구소 조석준 센터장은 “디지털카메라가 널리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