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생명윤리'에 괂나 이번 행사가 첫 합의회의다.합의회의에 이에 대해 답하기 위해 해당
분야
에서 최고의 전문가들이 모인다. 2회 정도의 예비모임에서 난상토론을 거쳐 구체적인 질문을 도출해낸다. 본회의에서는 2박3일 정도의 시간을 가지고 전문가와 집중적인 토의를 거친다. 마지막 날 최종적인 ... ...
양자전기역학 요동하는 진공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수식 없이 개념적으로 기술한다고는 하지만, 양자장론이라는 것이 원래 여러 물리학
분야
의 많은 개념을 동원하므로 독자들은 여기서 숨을 크게 쉬고 계속 읽어가기 바란다.장(field), 공간에 퍼져 있는 그물망입자와 입자간의 상호작용을 생각하자. 팔도 없는 전자가 ‘어떻게’ 떨어져 있는 다른 ... ...
속시원하게 뻥 뚫어주는 인터넷 고속 서비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추구하는 캐주얼 마니어들에게 눈길을 끈다. 어느 것보다 유행이 자주 바뀌는 캐주얼
분야
임을 감안해 빠른 상품정보에 초점을 두고 운영한다.속이 보이는 PC, iMac 국내상륙 - 미국서 하루 7천대 팔려 애플사의 야심작 iMac(www.apple.com/imac/)이 국내에서도 출시됐다. iMac은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이는 PC로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훨씬 많이 잔 위대한 사람도 있다. 예를 들어 영국 수학자 무아부르는 확률이론과 삼각법
분야
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런데 그는 소문난 잠꾸러기였다. 잠자는 시간까지 아까워 밤새며 발명에 몰두했던 에디슨은 그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에디슨은 무아부르가 노년에는 하루에 20시간씩 ... ...
플라톤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시인이 되려고 노력했다. 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로 실패였다.플라톤이 마지막으로 택한
분야
가 바로 철학이었다. 소크라테스의 강의가 유명하다는 말을 듣고 그를 찾아가 수업을 받은 후 단번에 반해버려 소크라테스의 제자가 되기로 결심했다.이처럼 플라톤이 아무 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하고 ... ...
라부아지에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자연과학 전반에 관해 일류 선생으로부터 개인교습을 받았다. 그가 특히 재능을 발휘한
분야
는 화학이었다. 그는 화학연구의 업적을 인정받아 불과 25세의 젊은 나이에 파리 과학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정됐다.라부아지에가 결혼한 나이는 28세. 아내는 14살 연하의 마리 안 피에레트 폴즈였다.그녀는 ... ...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매력이 넘치는 과학 연구의 동반자 밀레바 마리치(M. Maric, 1875-1948)다. 어린 시절부터 과학
분야
에 뛰어난 재질을 보인 영재였다. 스위스 연방공과대학에서 두사람이 만났을 때 아인슈타인은 그녀의 지적 매력에 강하게 끌렸다. 게다가 그녀는 아인슈타인처럼 음악에 대한 애정이 남달랐다. 비록 ... ...
생활 속의 방사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위험하기 때문에 병원에서 사용되는 방사성물질은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다.농업
분야
에서도 방사선이 많이 이용된다.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 위해 일부러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경우, 해충이 번식하지 못하도록 불임처리를 하는 경우, 식품이 변질되지 못하도록 방사선을 쏘이는 경우 등이다. 이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개발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오크리지 국립연구소의 베이츠 그룹이 이
분야
의 연구를 선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일부 연구소와 대학에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아직 초보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무공해 대체헤너지 태양전지와 연료전지태양전지태양빛을 전기로 이용하려는 ... ...
2. 과학
분야
노벨상 궁금증 이모저모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그런데 출생지로만 따지면 한국도 한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이미 배출했다. 분자화학
분야
에의 공헌으로 1987년 화학상을 받은 찰스 페더슨이 이 사람이다. 그는 1904년 부산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지는 항해기사로 극동에 출항했다가 우연한 기회에 지금 북한지역의 운산광산에서 기계기사로 근무한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