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아 입체영상 찍을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입체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한장의 홀로그래피로부터 정면의 태아상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
에서 본 사진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X선에코는 이미 입체홀로그래피에 이용되고 있다. 입체적으로 표현된 영상에 의해 복잡한 수술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초음파에코의 개발로 암 진단 등에도 큰 효과가 ... ...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의문을 제기하는 학자들도 있다. 그들에 따르면, 패리아강과 합류하는 지역일대에 남북
방향
으로 배사구릉이 형성돼 있었기 때문에 동쪽의 낮은 지대에 수천㎦의 유량을 갖고 있는 두개의 거대한 호수가 존재했다고 한다. 그후 배사구조가 파괴되면서 엄청난 물이 터져 나와 격변적으로 대협곡이 ... ...
야구 「4번 강타자설」은 맞는 것일까?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있을 때 2루타를 치면 주자는 2, 3루가 된다'는 식의 단순계산법을 적용했다. 물론 타구의
방향
을 잘못알고 무리하게 뛰다가 아웃되는 주자도 계산에 넣지않았다.통계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각 팀을 10만번씩 대결시켰다. 그 결과 강타자가 3번에 있는 팀이 가장 승률이 높았다. 승률이 높은 순서대로 ... ...
♀ ♂ , 왜 같은 비율로 태어나나?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고기중에는 어려서는 암컷이었다가 자라면 수컷으로 변하는 것이 많다. 성전환은 어느
방향
으로 또 어떤 시기에 생기는 것일까? 게다가 갯지렁이와 권패류 등에서 볼 수 있는 한개체가 정자와 난자 양쪽을 동시에 만드는 암수동체는 어떻게 해서 생기는 것일까. 이 질문에도 역시, 각각의 개체가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다음과 같은 것이다. 하드론(hardron) 속의 기묘한(strange) 쿼크와 매력적인(charm) 쿼크의
방향
을 위(up)나 아래(down)로 변환시키거나 붕괴시켜, 마침내 양성자만 남는 안정된 하드론을 만든다. 그리고 렙톤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이들을 붕괴 시킨다.■ 강한 핵력/하드론 입자군강한 핵력이란 원자핵 속의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분자 사이에 힘이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 마찰이 있기 때문에 자동차가
방향
을 바꿀 수 있게 되고 낙하산을 이용할 수 있다.인간이 도구를 사용한 초기부터 마찰을 이용했는데, 그것을 응용한 최초의 도구는 곡물을 가루로 만드는 일종의 절구였다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각 분자 쌍극자들 사이에서는 마찰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만약 외부전기장의 극성
방향
을 바꾸어 주는 빈도를 매우 빠르게 하면, 그 발생열은 대단한 정도로 증가해 조직 전체가 가열될 수도 있다. 특히 물분자는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분자쌍극자의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물을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바람을 틈타 제품을 팔아 먹는 기업들의 부추김이 도리어 체계적이고 올바른
방향
의 연구를 방해해왔다. 최근에는 다시 퍼셉트론류의 상향식 연구방법이 광학소자나 병렬처리 기술의 발달로 각광받고 있다.인간의 지능을 기계로 묘사하거나 새로이 증폭시키고자 하는 일은 엄청나게 힘든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것은 1745년에 에드몬드 리에 의해서 발명된 풍차 꼬리 날개로 이를 통해 확실히 바람의
방향
을 알게 됐다. 두번째는 제임스 와트가 만든 조정기로 이것은 원심력을 교묘하게 이용해 증기엔진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장치였다.탐지기에는 건물내 연기를 탐지해 화재경보를 알리는 ... ...
네손가락으로 글씨 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반도체압력센서가 검출한다. 접촉물체의 단단한 정도에 따라 손가락에 힘이 들어가는
방향
이 조절된다. 마치 손가락이 촉각을 가진 것처럼 생각하면 된다.이 로봇은 전시회장의 관중들앞에서 훌륭한 솜씨를 선보였다. 많은 연습을 거쳤겠지만(정교한 프로그램) 회사이름(東芝)을 반복해서 정성껏 ... ...
이전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5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