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d라이브러리
"
성공
"(으)로 총 6,471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감속되는 재돌입 및 착륙과정이 약 1시간 동안에 완료됐다.우주왕복선의 처녀비행은
성공
리에 막을 올렸고 새로운 우주운송체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7명 승무원과 29.5t의 화물우주왕복선의 중요한 기본기능은 두가지다. 첫째는 최대 29.5t의 유료하중을 낮은 지구궤도(약 2백 50-2백 80km)에 올려놓을 ... ...
윈도우의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흑백모니터도 화려한 고해상도 컬러 VGA에 의해 밀려났음은 물론이다.한글의 대대적인
성공
에 힘입은 바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윈도우의 풀다운 메뉴와 비슷한 체계를 갖추게 됐으며 대부분의 소프트웨어가 그래픽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였다. 이로써 컴퓨터 하드웨어의 고속도화, ... ...
1. 인간의 혈액형은 400가지 이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Blundell)은 출혈이 심한 산모들에게 최초로 사람의 혈액을 수혈하여 일부에서 치료에
성공
을 거두었다. 그러나 다른 환자들은 심한 부작용을 보이거나 사망함에 따라 19세기 말까지도 수혈이란 결과를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치료행위로밖에 인정되지 않았다.진정한 의미의 현대적 수혈이 시작된 것은 2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
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그는 처음에 촬영
성공
의 여부보다 모형비행기의 이륙과 비행
성공
의 여부에 매달렸다. 카메라의 무게가 기체의 중량에 압도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 그는 카메라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카메라의 배터리를 니켈카드뮴 전지보다 훨씬 가벼운 알칼리 전지를 선택해 사용했다. ... ...
2. 의료계의 혁명 수혈기술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채혈액이 등장했다. 또한 세균의 오염을 방지하는 무균 채혈 개념도 도입되어 수혈의
성공
률이 매우 높아지게 됐다.제2차 세계대전이 세계적으로 수혈의학이 정립하게 된 분기점이라 한다면 우리나라는 6·25 전후가 그 시기가 된다. 이 때를 기점으로 직접수혈에서 간접수혈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 ...
KIST 자성합금 연구실장 김희중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니켈을 섞은 고순도 재료인 '임바'를 이용해 HDTV에 필요한 섀도 마스크(shadow mask) 개발에
성공
했다. 새도 마스크란 컬러 텔레비전 브라운관 내부에 설치된 전자빔의 차폐판으로, 금속판에 뚫린 무수한 원형의 작은 구멍을 통해 색채 화상을 재현하는 역할을 한다. 이번에 김박사팀이 만든 섀도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맞교대이기 때문에 성관계가 불가능했던 것으로 밝혀졌다.88년 11월 첫 무인 비행에
성공
한 옛소련의 우주왕복선 부란호는 정원이 10명이며 길이가 60m로 덩치가 미국것보다 크다. 고장난 군사첩보위성을 회수하고 수리하는 것이 주용도이다 ... ...
산업 디자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사람을 편안하게 해주거나 능률을 높여주고 행복감을 가져다준다면, 그 디자이너는
성공
한 것이다. 디자이너들이 자주 사용하는 '사용자 친화 디자인'(User Friendly Design)이라는 용어가 바로 그와 같은 이념을 반영해주고 있다.기능은 형태를 따른다1980년대 중반부터 신제품의 개발과정에서 디자인의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뿐이다.1세기의 비행기 역사오토 릴리엔탈(Otto Lilienthal)이 수백m의 공중활주에 처음으로
성공
한 것은 1891년. 그러나 그는 1896년에 공중비행을 시도하다가 48세의 젊은 나이로 뜻밖의 치명적 사고를 당했다. 그로부터 2년 후 이그나츠 에트리흐와 그의 아들 이고는 릴리엔탈의 작업을 계속하려 했으나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5. 왜 평생 양자론을 반대했는가"양자역학은 대단히
성공
적이었지만 원리(原理)에 대한 이론은 아니다"라는 아인슈타인의 견해는 평생 바뀌지 않았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양자역학은 이론 물리학의 기본 이론이 될 수 없다"는 단정은, 대개 아인슈타인이 '화석화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