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묵독
목독
방패
방패막이
사이
d라이브러리
"
간
"(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없애는 역할을 하는 일종의 규약이자 개발 기술이다. 사용자에게 편리한 윈도와 실시
간
처리 능력이 높은 트론과 리눅스가 서로 상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누구나 연구에 참여해 필요한 기술을 가져가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체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다. 유비쿼터스 시대에는 필요한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이론은 암흑기를 맞았다. 그 후 1920-30년대 집단유전학자들이 종
간
의 작은 차이가 시
간
이 흐르면서 엄청난 차이가 된다는 것을 수학적 모델링으로 증명했다. 이런 움직임이 다시 자연선택 이론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게 된 결정적 계기가 됐다.이보디보(evo-devo)진화와 발생을 중심으로 생물학의 모든 ... ...
유인화성탐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남동풍)과 겨울(차가운 북서풍)에 뚜렷하게 나타난다 우리나라 장마는 여름 몬순 기
간
에 나타난다 그러나 몬순과 장마가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 ...
액체 특성 지닌 고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다른 원자들 사이를 흐르는 새로운 물질. 이때 점성 없는 초유체(superfluid)처럼 원자들
간
에 전혀 저항이 발생하지 않는다. 출근길 사람들로 꽉 찬 지하철에서 옆사람과 전혀 부딪히지 않고 미끄러지듯 출구로 빠져나갈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김은성씨는 모제즈 찬 교수와 함께 헬륨-4를 유리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순탄할 것만 같았던 프로젝트에 적신호가 켜진 것은 지난해말. 부지 선정을 놓고 참가국
간
에 갈등을 빚으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워싱턴에서 열린 ITER 참가국 연석회의에서 미국과 한국이 일본을, 러시아와 중국이 프랑스에 대한 지지입장을 각각 표명했던 것이다. 특히 2월말로 예정된 최종 부지 ... ...
겨울 밤 남쪽 밤하늘을 장식하는 보석 두개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부분을 나타내는 별들로 두 성단을 찾아가는 기준이 된다. 성단은 두별 중 서쪽별에서 약
간
떨어진 북쪽에 위치해 있다.성단은 맨눈으로 보일까? 맑은 날씨에 주변 불빛이 없다면 별들의 집단이 어슴푸레 느껴질 것이다. 은하수가 좀더 뚜렷이 보이는 듯하게 느껴지지만 그 정체는 명확하지 않다. ... ...
한국인, 광우병 취약한 유전자 가져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또한 우리나라는 1995년까지 영국의 동물성 사료를 수입했기 때문에 잠복기가 긴 인
간
광우병의 특성상 아직 발병되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다. 김 교수는 “불법 육류 수입이나 유통을 막고, 크로이츠펠트 야콥병 환자가 사망한 경우 정확한 진단을 위해 부검을 할 수 있는 법적 제도가 필요하다”고 ... ...
위대한 예술가는 타고난 신경생리학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20여년전 파리에서 있었던 일이다. 나이를 속이고 출품한 유치원생의 그림이 성인들의 작품을 제치고 그랑프리를 차지했다. 당연히 프랑스 화단은 발칵 뒤집혔다. 이 사건은 ... 가져올 유용성도 무척 커 보인다. “뛰어난 예술가는 뛰어난 과학자이기도 하다”는 말이 실감나는 순
간
이다 ... ...
부모들 아기 울음에 민감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의존해 뇌가 반응하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한편 여성의 경우 자식이 있건 없건
간
에 모두 뇌의 특정한 영역에서 울음소리에 대한 반응이 나타나 모성본능이 타고난 것임을 보여줬다. 울음소리를 들었을 때 뇌의 전전두엽 피질에서는 그 소리가 중요하다고 해석한다. 그래서 전기적 자극이 ... ...
남북한 공동 식물지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아직 없다. 식물지를 제작하려면 모든 식물학자들이 뜻을 모아야 하고 적어도 수십년
간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쉽지 않다. 더군다나 남북한으로 분단돼 있는 현실이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일제시대에 만들어진 ‘조선식물지’가 있긴 하지만, 이는 나카이라는 일본인 박사의 ... ...
이전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5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