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여성아마추어들에게는 더욱 필요한 물건이다. 고배율을 선택하라광공해가 있는
지역
에서는 소구경으로 갈수록 배율이 높아질수록 상의 콘트라스트는 높아져가지만 구경이 작아지면 그만큼 볼 수 있는 한계가 주어지므로 현재 보유하고 있는 장비에서 고배율쪽을 선택하는 것이 상의 콘트라스트를 ... ...
한강의 두번째 기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더러워도 당장 마시는 물은 깨끗하게 만들어 보자는 생각이다. 팔당 댐 이북 상수원 보호
지역
에는 올해 들어 눈에 띄게 식당이나 호텔이 늘어났고, 얼마 전에는 무더기로 허가해 준 골프장의 도산 위기를 이유로 골프장 오염방지 기준을 완화해 주기로 결정했다는 우울한 소식도 있었다.강은 그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작은 개미 한마리의 모습을 보고자 하는 것과 같다). 특이한 점은 궁수 A는 이
지역
의 모든 가스가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데 반해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사실은 궁수 A가 매우 무거운 천체임을 나타낸다. 실제로 많은 천문학자들은 위와 같은 여러 현상의 에너지원이 궁수 A이며, 궁수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새벽서리를 맞으며 외로이 빛나고 있다. 이 탐사선은 1976년 유토피아 플라니티아라는
지역
에 착륙했는데 지금은 화성먼지를 뒤집어 쓰고 있다. 8월/확장추진 기술이 발달해 여행가격이 저렴해지고 여행시간도 단축되면서 화성으로의 가족여행이 보편화된다. 달궤도에서 연료와 물자를 공급받을 수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백m 망원경 등이 있다. 가장 큰 만원경은 푸에르토리코에 있는 아레시보 망원경으로 분지
지역
에 지표를 다듬어서 망원경으로(지름이 3백5m)쓰고 있다. 이 망원경은 직접 움직일 수가 없지만 부경을 움직임으로써 관측위치를 변화시켜 천체를 관측한다.분해능은 망원경의 지름에 비례하는데, 하나의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복사열을 강하게 반사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대체로 빙기가 맹위를 떨쳤을 때 중위도
지역
의 온도는 현재보다 평균 8~10℃ 낮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편 간빙기에는 연평균 기온이 현재와 비슷했거나 2, 3℃ 정도 높았을 것이다. 지자기의 역전현상과 어떤 관계가 있나?지구과학자들은 이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라고 부른다. 어느 한 지점을 날아다니는 나비로 인해 그 다음 달에 전혀 엉뚱한
지역
에서 폭풍우가 일수도 있다는 뜻이다.그의 연구는 수학자들 뿐만 아니라 물리학자들에게 비선형현상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simulation, 모의실험)방법이 ... ...
고엽제 후유증의 원인 다이옥신 해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 있는가A) 국방부가 제시한 고엽제 후유증 환자 판정기준에 따르면 고엽제 살포
지역
에 근무한 적이 있는 사람에 한해 신체검사와 역학조사를 실시해 '고엽제로 인한 후유증발생확률이 기타 위험인자로 인한 질병발생확률보다 큰 경우'에 전상(戰傷)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만기형의 경우 푸르게 냐타난다(B-V 값이 0.3~0.4정도이다). 그리고 나선팔에는 H II
지역
(수소가 이온화된 곳으로 별의 형성이 기대되는
지역
)이 많이 존재하며 만기형으로 갈수록 성간물질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나선은하에선 만기형으로 갈수록 별의 탄생이 활발해지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 ...
한반도의 철기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봉쇳덩이는 녹동리와 산 하나 사이를 둔 치술령 부근의 두들못가와 청도군 운문산
지역
으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치술령 부근의 두들못가에는 쇠부리가마에서 나온 잡쇳덩이에다 다시 높은 열을 가해 녹이고 망치질해 불순물을 줄이는 강엿쇠둑(권교수가 찾아낸 우리말 표현, 금속학계에서는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