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줄기세포가 인슐린을 만들어낼 수 있을까.“5-10년 후면 가능하지 않을까요?”조
박사
는 뜻밖에 희망적인 전망을 내놓는다. 게놈프로젝트도 처음에는 누구도 그렇게 일찍 끝나리라고 예상하지 못했듯이, 현재의 난관을 단번에 뛰어넘을 수 있는 획기적인 계기가 있을 거란다. 물론 그 주인공이 누가 ... ...
조류독감 익혀 먹으면 안전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유래가 조류독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영국 국립의학연구소 존 스켈
박사
팀은 스페인독감에 감염돼 사망한 뒤 알래스카 동토에 매장된 환자들의 사체에서 추출한 바이러스를 분석한 결과를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온라인판 2월 5일자에 발표했다. 스페인독감의 헤마글루티닌 ... ...
사랑에 눈먼 두뇌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것이 밝혀졌습니다. 주가를 맞추는 방정식이었다면 당장 갑부가 될만한 정확성이죠.고텀
박사
는 지난 2월 13일 미국 과학진흥협회(AAAS)의 연례학술대회에서 이 연구결과를 발표하면서 “결혼생활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상대에 대한 악의적인 말을 삼가고 상대의 말이 우습다는 식으로 입술을 ... ...
전산수학 개척자 마이크로소프트의 김정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뭐냐고 확실하게 묻습니다.하고 싶은대로 하게 해준다니 상당히 부럽습니다. 그런데
박사
님의 수학연구가 프로그래밍의 발전에 어떤 도움이 되나요?나의 세부연구분야는 조합론과 전산수학입니다. 이 수학분야는 MS의 제품에 직접적으로 응용되기보다는 이들 제품에서 쓰인 알고리즘에 대한 바른 ... ...
4억2천8백만년 전 세계 최고 육상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이것이 곧 육상동물임을 증명해준다. 이번 연구에 참여했던 고생물학자인 앤더슨
박사
는 “이 생물이 물 속에 살았다면 숨구멍이 온통 물로 가득 찼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처럼 스코틀랜드에서 초기 원시육상동물이 발견되는 이유는 과거 이 지역이 전혀 다른 환경에 있었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 ...
눈 돌린다고 야단치면 안돼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과정이란 사실이 밝혀졌기 때문. 영국 스털링대의 심리학자인 기네스 도허티 스네든
박사
는 어린이들이 선생님의 질문을 받고 눈길을 돌리는 이른바 ‘시선 회피’(gaze aversion) 현상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행동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지금까지는 주로 성인들을 대상으로 시선 회피 ... ...
제주서 5만년 전 사람 발자국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도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지난 1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이융남
박사
가 제출한 소견서는 여러 발자국 화석의 뒤꿈치가 하이힐처럼 올라가 있다는 점과 발자국 화석의 깊이가 똑같다는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왼쪽 발자국은 왼쪽 바깥부분이 오른쪽 발자국은 ... ...
각국의 최초 우주인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노익장을 과시했다.유럽 최초의 우주인은 유럽우주기구(ESA)의 독일인 울프 메르볼드
박사
다. 재료과학자인 그는 1977년 선발돼 1983년 유럽인으로서 최초의 우주왕복선 탑승자가 됐다.일본 최초의 우주인은 1990년 미르 우주정거장에 탑승한 동경방송사의 토요히로 아키야마 기자로, 세계 최초의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더 건강한 정자를 갖고 있을 확률이 그렇지 않은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솔레르
박사
는 여성이 매력적인 용모를 가진 남성을 찾는 것은 결국 건강한 자녀를 갖기 위해서라고 주장했다.이 외에도 매력적인 남성은 면역성이 강하기 때문에 질병에 잘 걸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와있다. 또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근로자에게 암, 기형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기 때문이다.이런 맥락에서 유
박사
는 “바로 지금 나노입자에 대한 연구개발과 함께 독성평가가 이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