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닥에서 요동치지 않는 샤워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샤워기를 넣고 물을 틀면 된다. 실리콘 무게와 마찰력이 수압을 견디기 때문에 샤워기가
뒤
집히지 않는다. 이 제품은 창조경제타운에서 우수아이디어로 선정됐을뿐만 아니라 대한민국 창의발명대전에서 은상을 수상했다. 배대표는 “누구나 한번쯤 물벼락 맞아본 경험이 있을것”이라며 “발상의 ... ...
똑 소리 나는 교관 ‘대충하지 마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절도 있게 걷는 훈련부터 다시 배운다.“앞으로 가! 좌향 앞으로 가! 우향 앞으로 가!
뒤
로 돌아 가! 우향 앞으로 가! 제자리에 서!”미션2 몸 튼튼 마음 튼튼, 체력훈련“군인은 뭐니 뭐니 해도 체력이 좋아야 한다!”다음은 체력단련 훈련이었다. 길게 늘어진 밧줄을 타고 올라가야 한다. 위에 달린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먼저 생각한 기술은 가속기로 중수소 빔과 삼중수소 빔을 각각 높은 에너지로 가 속시킨
뒤
서로 충돌시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핵융합이 일어날 확률이 너무 낮아 실용화될 수 없었다.이후 과학자들은 양자역학적 터널링 효과를 통해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나도록 하는 방법, 즉 고온의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이온로켓은 540kg만 있으면 된다.소행성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보통 성장하기까지 수천 만 년이 걸리는 데 비해 화성은 200~300만 년 만에 급격히 커진
뒤
다른 물체와의 충돌을 피해 지금의 크기가 됐다고 해요. 화성은 아기행성이 그대로 커서 어른이 된 셈이에요. 요즘 인간들의 운석학계에서는 행성의 ‘폭주성장(runaway growth)’이 가장 ‘핫’한 논쟁거리래요. ... ...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앞으로도 계속 하고 싶은 분야를 연구할 계획이다. 지금도 주위 연구원들이 퇴근한
뒤
에 실험실에 몰래 들어가 혼자 실험을 하곤 한다. 작년부터 뇌과학연구소인 세인즈베리웰컴센터 초대 센터장을 맡고 있다. 가능성 높은 후배 과학자에게 아낌없이 예산을 지원하고 그들이 최대한 창의성을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질병민감성 등 겉으로 보이는 형질을 바꾼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이 소장은 기존 개념을
뒤
엎고 유전자의 개수가 이런 차이를 낳는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이 소장은 “개념은 새롭지만 현상 자체는 염기분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 ...
[과학뉴스] ‘무서운 손’ 공룡, 50년 만에 정체 밝혀져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했을 가능성도 제기됐다.이융남 관장은 “한국은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공룡 연구가
뒤
처져 있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선진국 수준으로 도약하는 계기가 마련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10월 23일 ‘네이처’에 발표됐다 ... ...
[과학뉴스] 중력으로 그린 바닷속 지도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해구는 그 반대의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해수면 변화에서 기후 등 다른 효과를 제거한
뒤
, 이를 바탕으로 중력지도를 그려 바닷속 지형을 새로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연구팀은 이 지도를 이용해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지형을 찾기도 했다. 1000km가 넘는 해구가 걸프만에서 새로 발견됐다. 아프리카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인류는 문화적 존재다. 문화가 진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머리 덜 쓰는 경향이 몇 만 년
뒤
미래의 지적 능력에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언제나 열려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뚜렷한 흔적이 보이지 않지만 말이다. 폭발적인 디지털 문명이 이런 경향을 가속화할까. 답은 후대 인만이 줄 수 있을 것이다.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