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수학공부에도 효과 톡톡!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직접 문제를 만들 수 있는 것이랍니다. 문제를 만드는 것은 100% 그 내용을 이해했을 때
가능
한 일이기 때문이죠.보드게임에서도 마찬가지랍니다. 누군가 만들어 놓은 보드게임을 즐기는 것도 좋지만, 직접 자신이 새로운 규칙으로 게임을 만드는 것은 훨씬 더 훌륭한 학습이 될 수 있어요.특히 게임의 ... ...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학생들이 다른 나라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수학 공부에 써 성적이 높게 나왔다는 해석이
가능
하다.한편 미국에서 1989년부터 또는 2000년부터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수학교육 논쟁을‘수학전쟁’이라 부른다. 수학적 절차를 중시하는 전통적인 교육과, 개념 이해를 중시하는 미국수학교사협의회 ...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때의 장단점을 연구하겠다는 내용이다. 따라서 올해 고교 평가에서 전자계산기를 만날
가능
성은 없다. 권기석 팀장은“전자계산기 사용에 대해서 긍정적인 연구결과가 나와도, 사용하기까지 적합한 수업안을 비롯해 여러 가지를 준비해야 한다”며“빨라야 내년 하반기에나 시범적으로 사용할 수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어떻게 답할 수 있을까? “논리력과 사고력에 도움을 준다”부터 시작해 여러 답변이
가능
하겠지만 추상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앞으로는 영국에서 열리는 매스 인스피레이션 행사에 가보라고 말하고 싶다.이 행사는 영국 10대 학생들을 위한 수학 행사 중 가장 큰 규모에 해당한다. 수도 런던은 물론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장 속에서 공생하며 살고 있는 박테리아에서 우수하고 값싼 연료를 생산할 수 있는
가능
성을 발견했어. 흰개미의 장 속에 살면서 나무를 소화시켜 주는 박테리아를 이용하면, 나무로 바이오 연료를 만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거지. 그래서 박테리아가 만들어 내는 효소를 찾아서 합성하려고 해 ... ...
INTRO. 전자계산기가 수학실력을 올려준다고??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것이라고 말했다. 전자계산기가 수학 수준을 더 높여준다는 얘기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
한지 알아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전자계산기가 수학실력을 올려준다고??PART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 PART 4. ... ...
2011 한국수학올림피아드 1차 시험 대비법 수학 최고수라면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출제된다. 조합에서는 주로 순열과 조합을 이용해 경우의 수를세거나 어떤 방법이
가능
한가를 판별하는 문제가 출제되는데, 우리나라 학생이 가장 어려워하는 분야다. 2010년에 출제된 문제 2개를 살펴보자.일반적으로 기하 문제는 풀이 방법이 매우 다양하다.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기하를 ...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수 있었어요. 노벨상 수상자의 대부분은 일반적으로 우리가 불
가능
하다고 여기는 것을
가능
하게 만들었어요. 저도 노력해서 초고체를 더 확실하게 밝혀, 훗날 우리 생활에 다양하게 쓰이도록 만들고 싶습니다"김은성(카이스트 물리학과 교수) 잠깐! 유리는 지금도 흐르고 있다!우리는 흔히 유리를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놓여 큰 지진이 많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안쪽에 위치해 큰 지진이 일어날
가능
성은 낮다. 기상청에서 발표하는 지진발생횟수가 늘어난 것은 실제 지진이 많아졌다기보다 지진관측기술이 좋아진 덕분으로 해석된다.그렇다고 지진에 대한 대비를 소홀히 해선 안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둘로 나뉠까? 특히 이들은 질서정연하게 흩어졌다가 다시 뭉치는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
한 걸까?생물학자는 동물의 행동을 보고 이유를 설명하지만 분명하지 않을 때가 많다. 또 조건이 바뀌었을 때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측하지 못한다. 반면 수리과학자는 상어의 공격과 물고기의 도망 패턴을 ... ...
이전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5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