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프로젝트] 12월,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한글상하반전방법수학자가 직접 만든 미해결 수학 문제부터 코딩을
이
용해 문제를 푸는 코딩 수학까지. ‘폴리매스 프로젝트’는 수학 문제를 ... 관심사와 관련 있는 것을 찾으면 금세 즐길 수 있을 거예요.(☞인터뷰 원문은 폴리매스 홈페
이
지 [폴리매스]→[멘토링&인터뷰]를 참고하세요!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홈페
이
지(polymath.co.kr) [선물
이
벤트] 게시판에 피터팍의 마지막 요리를 받고 싶은
이
유와 애정 어린 작별 인사를 남겨주세요. 추첨을 통해 사탕을 보내드려요 ... ...
[융복합파트너@DGIST]
이
차전지 성능 결정할 ‘꿈의 전해질’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산소가 줄어든다. 그러면 지렁
이
는 살기 위해 땅 위로 올라온다. 물론 모든 지렁
이
가 그런 것은 아니다. 2008년 대만 연구팀은 두 종류의 지렁
이
로 실험을 진행한 결과 침수에 대한 내성
이
낮은 종(Amynthas gracilis)은 폭우가 시작되자 곧바로 땅 위로 올라왔지만, 산소 소비량
이
적은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벌써 3년째 지구사랑탐사대를 함께 한 프랑스인 연구원
이
있어요. 바로
이
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의 오통스 세레 연구원
이
그 주인공
이
지요. 어쩌다 한국에 오게 됐는지, ... 기울
이
고, 남들
이
하는 대로 그저 따라가기보다는 자신의 의견을 만들고 독립적인 사람
이
되었으면 좋 ...
[가상충돌 D-6년]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2019 PDC의 추정 궤도가 점점 정확해지면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도 높아졌어요. 과학자들은 충돌을 막을 수 있을까요? 우주선 충돌로 소행성의 속도를 바꿔라! ... 소행성의 파편
이
지구로 떨어질 경우 생명체에 위험한 방사선을 뿜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를 최대한 피하려고 한답니다 ... ...
[과학뉴스] 세계 최초 휴머노
이
드 로봇 화가, 단독 전시 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예측할 수 없다”며 “자신만의 예술 세계를 만들어가는 휴머노
이
드 로봇 아
이
다의 작품을 단독으로 소개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답니다 ... ...
번식지, 난도에서 무슨 일
이
?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날아다닐 땐 괭
이
갈매기를 위협하는 생물
이
없지만 번식지에선 고양
이
나 쥐들
이이
들의 알을 노려요. 둥지는 평지에 나뭇가지를 얼기설기 쌓은 평평한 형태라 포식자가 접근하기도 쉽지요. 따라서 포식자가 나타났을 때 함께 대응하기 위해 수만 마리가 무리를 지어 번식하는 거예요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합동’
이
라고 표현해요. 큐즐을
이
용하면 합동인도형을 여러 개 만들 수 있지요.
이
효성 대리님의 설명을 들은 친구들은 그때부터 작은 조각으로 합동인 큰 도형을 만들어 보았어요. 그리고 결국 친구들의 키만큼 커다란 로켓과 로봇을 만드는 데 성공했답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
이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용왕님
이
주신 초대장
이
없어졌어! 초대장
이
있어야 파티에 참석할 수 있는데….” 꿀록
이
울먹
이
자 개코 조수가 심각한 표정으로 말했어요. “누군가 우리의 초대장을
이
용해 용 ... 수상해 보
이
는 동물
이
있긴 했는데…. 초대장을 내밀며 눈을 피하더라고요. 처음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아무리 성능
이
뛰어난 카메라도 셔터 속도보다 더 빠른 물체의 움직임은 포착할 수 없다. 나노 소자를 개발할 때도 마찬가지다. 기존의 기술로는 전자와 ... 돌파했다”며 “초정밀 전자기장 센서 등 차세대 양자정보 소자에 응용할 수 있을 것”
이
라고 말했다. doi: 10.1038/s41565-019-0563-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