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슈퍼 화산’ 옐로스톤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차가웠던 패럴론 판이 맨틀을 식혀서 암석이 지표를 뚫고 나오는 것은 불가능했다. 리우
교수
는 “기존의 이론은 개념적인 것이었지만, 이번 연구결과는 지질학적인 자료를 물리적으로 분석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 ...
[과학뉴스] 그래핀 위에선 전자도 물처럼 흐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개별적으로 움직이는 것과는 완전히 다른 양상이다.공동저자인 하버드대 허첼 스미스
교수
는 “금속에서는 처음으로 발견한 유체역학 시스템”이라며 “천체 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블랙홀이 이와 유사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연구팀은 이 유체 시스템의 특성을 블랙홀의 특성을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몇 배나 큰 궤도를요. 망원경으로 보고 일일이 찾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브라운
교수
는 1월 20일 뉴욕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아홉 번째 행성을 찾는 일에 착수했다”면서 “늦어도 5년 안에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기존과 다른 네 번째 방법, ‘태양계 최외각 천체의 궤도를 ... ...
[Knowledge] 대의를 위한 희생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위해 진화했다고 거리낌 없이 가르치는 것에 경악했다. 이를테면, 해밀턴을 가르친
교수
중의 한 명인 곤충생리학자 빈센트 위글스워스가 1964년에 낸 ‘곤충의 일생’ 한 대목을 살펴보자.곤충은 자기 자신을 위해 살지 않는다. 그들의 일생은 자기가 속한 종의 생존에 바쳐진다…… 이제 우리는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연구 목적으로 그래픽 카드를 많이 구입하고 있다. 연구실에 장비를 납품하는 분이 ‘
교수
들이 왜 이렇게 게임을 많이 하냐’고 물을 정도다.(웃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길 수 있을까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 ...
[Tech & Fun] 소년탐정 김전일의 ‘이진칸촌 살인사건’ (下)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죽음에 다른 사람을 용의자로 생각하기도 하고, 공범의 가능성도 제시했습니다). 유
교수
는 저항흔 여부를 가장 크게 결정하는 건 ‘범행이 얼마나 급작스럽게 이뤄졌는지’라고 말했습니다. 실제 1997년 발생한 이태원살인사건의 피해자 고(故) 조중필씨의 주검에서도 저항흔이 나오지 않았습니다. ... ...
[수학뉴스] 뱀의 움직임에도 수학이?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유지하면서 기어가는 것일까요?이탈리아 고등연구국제대 구조공학과 안토니오 디시몬
교수
팀은 뱀이 옆으로 미끄러지지 않고 파도처럼 구불구불 기어 다닐 수 있는 이유를 수학 모형을 이용해 밝혀냈습니다.뱀은 구부러진 근육으로 흙이나 식물 등을 밀어 내면서 앞으로 나아갈 수 있습니다. 주변 ... ...
[수학뉴스] 중력파, 한 세기 만에 그 베일을 벗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약 500만 분의 1로 아주 낮답니다.가브리엘라 곤잘레스 루이지애나주립대 물리천문학과
교수
는 “이 발견으로 ‘중력파 천문학’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시작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오정근박사는 “중력파 검출은 수학의 역문제로 볼 수 있다”며, “역문제는 쉽게 말해 ... ...
Part 3. 완벽한 난수를 찾아서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컴퓨터로 만드는 난수는 씨앗에 좌우된다. 게다가 컴퓨터로 난수를 만드는 알고리즘의 종류는 두 세 개로 한정돼 있다. 난수를 만드는 방법이 같으니 만약 같은 씨앗을 넣는다면 같은 난수가 만들어져 버린다. 난수라고 할 수가 없어진다.음악 플레이어의 랜덤 재생 기능을 이용할 때 같은 순서로 ... ...
[지식] 거대 소수를 찾는 사람들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뺀 모양의 소수를 의미한다. 가장 큰 소수를 발견했다고 하면 보통 메르센 소수다.쿠퍼
교수
는 ‘메르센 소수 공동프로젝트’(GIMPS) 소속으로, 이 단체는 ‘Prime95’나 ‘MPrime’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메르센 소수를 찾는다. 메르센 소수 공동프로젝트에서 쓰는 프로그램으로 소수를 검증해보는 ... ...
이전
536
537
538
539
540
541
542
543
5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