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스페셜
"
이용
"(으)로 총 3,855건 검색되었습니다.
'선원 없는 화물선' 시대 열렸다...일본서 첫 운항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미카게에는 선원이 타지 않았다. 미카게는 위성항법시스템(GNSS)과 라이다(LiDAR) 센서를
이용
해 스스로 출항과 운항, 입항, 항만 접안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여기에 배에 탑재한 드론으로 항구 작업자에게 고정줄을 내려 정박까지 마무리했다. 미카게는 4단계 인 완전자율 수준에 도달했다는게 국제 ... ...
모든 혈액형 이식 가능한 '장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1
중 일부가 소화기관 벽에 붙어있는 당분인 ‘뮤신’을 분해해 섭취하는 데 쓰는 효소를
이용
했다. 뮤신은 점막에서 분비되는 점액물질로 적혈구 항원과 비슷하다. 연구팀이 이 효소를 A형 혈액형 기증자의 이식용 폐에 주입하자 폐 표면의 A항원이 4시간 안에 97% 제거됐다. 폐 혈액형이 A형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가장 작은 일반상대성 이론 시험장
동아사이언스
l
2022.02.20
1초씩 지구에 있는 시계보다 빠르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근에는 스트론튬 원자를
이용
한 광학시계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주기율표 2족에 속하는 알칼리토금속원소의 하나인 스트론튬 원자의 진동은 세슘보다 훨씬 빠르다. 과학자들은 2010년 두 개의 독립적인 원자시계를 비교하는 ... ...
[인터뷰]빙판 위 기적을 함께 준비합니다
과학동아
l
2022.02.19
장애인 썰매를 제작하고 있다. 이들이 만든 썰매는 알루미늄 합금 대신 마그네슘 합금을
이용
해 무게가 35%가량 가볍다. 1차 모듈만 공통으로 만든 뒤 나머지는 선수별로 맞춤 제작도 가능하다. 최 장비매니저는 “평창 동계패럴림픽에서 금메달을 딴 신의현 노르딕스키 국가대표의 썰매를 제작하고 ... ...
[우주산업 리포트] 우주기업에 부는 수직계열화 바람
2022.02.18
배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같은 기간 이보다 훨씬 가파른 매출 성장이 인공위성을
이용
한 ‘우주 인터넷’ 과 지구관측 분야에서 발생할 것이라 전망했다. 피터백 로캣랩 CEO는 “우리는 발사체를 확보했다”며 “이제 발사장과 인공위성, 인공위성 부품 그리고 관련된 공급망을 확보하면, ... ...
'3000억년에 딱 1초 오차'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새 원자시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놓인 고도가 낮을수록 더 느리게 움직인다. 연구팀은 2010년에도 당시 원자시계를
이용
해 이를 측정하는 등 여러 차례 확인했지만, 이번에는 더 정확한 측정을 위해 스트론튬 광격자시계를 사용했다. 그 결과 상단과 하단에 놓인 광격자시계는 10-19만큼의 아주 미세한 차이가 났으며 이는 이론값과 ... ...
입 안 헹구면 끝…코로나 검체 채취 가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전남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구강 가글은 면봉을
이용
한 검사 대신 비침습적인 타액을
이용
한 진단검사"라며 "조기 진단과 신속항원검사의 효율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신형식 KBSI 원장은 “연구원에서 개발한 원천기술이 사회에 환원되는 좋은 사례"라며 "코로나19 방역에 도움이 될 수 ... ...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센터 제공 1922년에는 독일의 오토 슈테른과 발터 게를라흐가 은 원자 빔을
이용
해 보어-조머펠트의 이론검증에 나섰다. 전기를 띤 전자가 각운동량을 가지면 자기 모멘트를 가지며 일종의 자석처럼 행동한다. 이런 빔을 균질하지 않은 외부 자기장 속으로 통과시키면 빔 속의 미세한 자석(원자)들이 ... ...
라오스서 코로나19 친척뻘 바이러스 3종 발견…"자연 기원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부분이 유전적으로 유사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을 덮고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
해 인간 세포에 붙는다. ACE2는 인간세포에 달린 수용체로 스파이크 단백질과 결합한다. 박쥐에서 발견된 바이러스 3종은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보다 ACE2에 더 효율적으로 결합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3종 중 ... ...
1심서 '무죄' 유전자 가위 전문가 김진수 전 교수, 항소심서 ‘번복’
동아사이언스
l
2022.02.16
“다만 신속하게 연구를 진행하려는 의욕이 지나쳤던 것으로 보이며 사적인 용도로
이용
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또 “형사 전과가 없는 피고인은 열악한 연구환경에서도 미래 산업에 중요한 유전체 교정 기술을 오래 연구하면서 국제적으로 권위를 인정받은 연구자”라며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