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시력
시점
때
조준
안력
보이기
스페셜
"
시각
"(으)로 총 69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이용하는 행동도 보였다. 이에 대해 드 발 교수는 “이것은 분명히 유인원이 오로지
시각
에만 의존해 자발적으로 하는 행동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그 기반이 되는 인지를 어느 정도 공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원숭이가 ‘거울 마크 테스트 통과 클럽’의 ‘준회원’ 자격은 있다는 ... ...
[과학게시판] 전기연, '강소연구개발특구' 선정 추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경남 창원시에 위치한 한국전기연구원(KERI) 본원의 전경. KERI 제공 ■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30일 경남 창원시와 손잡고 ‘강소연구개발특구’ 선정 ... 다루는 사회문제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공유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하고 모든 과정에서 수요자의
시각
이 반영돼야 한다는 주장도 실렸다 ... ...
[과학게시판] 가상통화 취급업소 보안 수준 점검결과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1.10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그의 ‘불통’에 대한 지적이 쏟아진 데 따른 것으로 보는
시각
이 많다. 문 차관은 지난해 임명 직후 자신을 지적하는 기사를 페이스북에 공유하면서 “연구자 중심, 연구자 주도 과기정책 제대로 추진해서 존재감도 키우고 많이 만나뵙고 말씀 들으면서 소통도 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
2018.12.29
주요 특징인 것으로 나타났다. 극단적인 표현은 완벽하지 않다면 쓸모없다고 보는
시각
인 완벽주의와도 관련을 보인다고 한다. 자살에 관한 글을 쓴 사람들에게서도 이러한 극단적인 표현이 타집단에 비해 80% 이상 많이 나타난다. 우울증에 걸렸다가 회복한 사람들의 커뮤니티에서는 이들 표현의 ... ...
발사 준비 '착착'…시험발사체 최종 발사
시각
오후 2시30분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8.11.28
열리는 최종 발사관리위원회에서 발사체 상황과 기상 등 조건을 모두 고려해 최종 발사
시각
을 결정해 2시 30분경 발표할 예정이지만, 모든 조건이 잘 따라 준다면 오후 4시에 발사가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오전 현재 나로우주센터 주변은 현재 차분한 가운데 곧 다가올 발사에 대비하는 긴장감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
2018.11.13
게 아니라 화질의 다른 측면도 더 뛰어나다고 하지만 다른 측면 역시 4K에서 사실상 인간
시각
의 한계에 이른 것 아닐까. 바야흐로 TV 디스플레이가 ‘사람의 눈을 위한 기술’에서 ‘매의 눈을 위한 기술’로 넘어가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수 비타민을 아시나요
2018.10.31
매도하는 것 역시 문제 아닐까. 에임스 교수의 논문 두 편을 읽으며 이런 편협한
시각
으로 종합영양제 논란을 바라본다는 것은 평생 이 분야에 헌신해 온 연구자들을 모욕하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8.10.27
채 성공적으로 우주로 날아갔다. - 사진 제공 ESA/CNES/Arianspace 10월 20일 새벽 1시 45분(현지
시각
), 프랑스 기아나 우주기지에서 굉음과 함께 유럽이 자랑하는 민간 발사체 ‘아리안 5’가 하늘로 치솟았다. 유럽우주국(ESA)와 일본항공우주연구개발기구(JAXA)가 공동 개발한 역대 세 번째 수성 탐사선 ... ...
[표지로 읽는 과학]위장술 끝판왕 갑오징어 뇌를 연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0
색소포자라고 불리는 작은 세포들이 퍼져 있다. 갑오징어의 위장술에 대해 학계에서는
시각
신호를 받고 뇌에서 전달한 신호가 피부 근육을 수축시키면, 색소포자가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색이 변한다고 설명한다. 뇌의 활동 변화를 컴퓨터로 분석해 색변화를 추적했다. 하지만 일부 실험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진화시켰고 그 정점이 네발 포유류일 것이다. 한편 나무 위 생활을 선택한 영장류는
시각
과 청각을 고도로 발달시킨 대신 후각을 상당 부분 희생시켜 오늘에 이른 것이다. 그럼에도 보다 원초적인, 즉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후각수용체는 여전히 보존하고 있다는 말이다. 아직까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