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스페셜
"
결과
"(으)로 총 7,1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친환경 해양에너지 수확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9.21
이용하는 이 소자는 바다 상태 등을 모니터링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터리얼즈’에 지난 7월 9일 공개됐다 ... ...
올빼미족, 당뇨·심장병 걸릴 위험 높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0
아침형 인간이 저녁형 인간에 비해 제2형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낮다는 연구
결과
가 나왔다. 아침에 일찍 일어날수록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비중이 증가한 탓이란 분석이다. 스티븐 말린 미국 러트거즈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일어나는 시간에 따라 신진대사에 차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좋은 약이 입에 쓴 이유
2022.09.20
이 수용체가 인식하는 쓴맛 분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한
결과
다. 스트리키닌과 비슷한 구조를 지닌 분자들은 상호작용 방식도 비슷하고(위) 다른 구조를 지난 분자들은 다른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을 알 수 있다(아래). 사이언스 제공글라이신수용체 ※ 필자소개 강석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딥러닝으로 사계절 북극 해빙을 관측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7
해빙 두께를 측정하기 위해 진행하는 항공 조사 프로젝트인 '아이스버드'를 통해 얻은
결과
와 비교해 신뢰도를 높였다. 기후변화는 이전 1000년간 볼 수 없던 빠른 속도로 북극 해빙을 감소시키고 있다. 연구팀은 해빙 두께에 대한 연중 기록으로 북극의 기후변화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기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을 태풍은 정말 더 잦고 강력해졌을까
2022.09.14
다리 만지기 식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언제 어디에서 태풍을 경험하는지에 따라서
결과
가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다. 끔찍한 태풍의 피해를 각오했던 서울에서는 힌남노의 흔적도 느낄 수가 없었던 것이 별난 일은 아니라는 뜻이다. 태풍에 대한 통계적 분석도 말처럼 쉽지 않다. 해마다 ... ...
中 연구진 "태양풍이 달 표면水 주요 생성원인 재입증"
연합뉴스
l
2022.09.13
에 지난 10일 실렸다. 중국 연구진이 지난 6월 같은 과학 저널에 발표한 연구
결과
는 달 내부에서 기원한 물이 있을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했는데, 이번에는 '외부 요인'인 태양풍이 달 표면수 존재의 핵심 메커니즘이라는 점을 입증한 것이라고 차이나데일리는 소개했다. 또 이번 연구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당나귀는 7000년보다 더 오래전 가축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1
통해 당나귀가 언제 가축화가 이뤄졌는지를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연구
결과
를 논문으로 발표했다. 현대 당나귀와 고대 당나귀에 대한 포괄적인 게놈 분석은 수천년에 걸친 무리 동물의 가축화 근간이 되는 기원과 가축화의 확대, 가축화 이후 인간의 관리 방식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 ...
[표지로 읽는 과학] 약 2억 3000만년 전 살았던 목이 긴 초식공룡
동아사이언스
l
2022.09.10
미국 버지니아공대와 짐바브웨 자연사박물관 등 국제 공동연구팀은 이 화석을 분석한
결과
를 지난달 31일 네이처에 공개했다. 연구팀 분석에 따르면 이 공룡이 살던 약 2억 3000만년 전 짐바브웨 지역은 오늘날보다 훨씬 남쪽에 위치해 습도가 높고 초목이 풍부했다. 대부분의 공룡이 이 지역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고맙다'는 말은 '마법' 같다
2022.09.10
대한 인식이 생길 때 그 관계는 신뢰할 만한 관계가 되고 더 노력할만한 관계가 된다. 그
결과
서로 감사하는 관계가 자연스럽게 오래 지속된다는 것이 학자들의 설명이다. 실제 연구에 의하면 감사를 ‘받은’ 사람들은 희생적인 일을 하고도 감사를 표하는 사람을 향해 억울함보다는 연대감을 더 ... ...
[과기원은 지금] 강진영 KAIST 교수팀, 단백질·RNA 유전자 전사조절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9.08
세포로 암 모델을 제작해 맞춤형으로 치료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에 지난달 26일 공개됐다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