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가위 특허전쟁 분기점…툴젠, ‘저촉심사’ 유리한 고지 선점
동아사이언스
l
2022.09.30
들어줬지만 UC버클리는 고등법원에 항소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유전체의 특정
DNA
를 정확히 찾아 잘라낼 수 있는 기술이다. 2020년 노벨 화학상의 주인공이 되면서 학계와 산업계의 관심을 한 몸에 받고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는 유전병 치료제 개발 및 식량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 ...
산전 검사로 태아 다운증후군 확인...미국판 노벨생리의학상 '래스커상' 영예
동아사이언스
l
2022.09.29
총 3개 존재하는데, 로 교수는 이 기술을 통해 임신부의 혈액에서 검출된 태아의
DNA
에서 21번 염색체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는 것에 성공했다. 2008년 실시한 실험에서 로 교수는 35명의 태아 중 다운증후군에 걸린 태아 21명과 정상 태아 14명의 상태를 모두 정확히 확인했다. 기초의학 부문은 ... ...
피부암 발생 높이는
DNA
손상 복구하는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27
항암 치료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일례로 시스플라틴 같은 항암제들은
DNA
손상을 일으키는데 이때 NER 복구 기작이 필수적이다. 쉐러 부연구단장은 "이번 연구는 두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통해 NER 복합체가 형성되고 작용하는 기작을 보여줬다"며 "암 치료 효과 개선을 위한 후속 ... ...
부모의 간접흡연도 자녀의 천식 발병 가능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상호작용해 유전자 발현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후성유전학은 염기서열 이외에
DNA
에 일어나는 부분적인 변화를 일컫는다. 연구팀은 담배 연기가 세포에 후성유적학적 변화를 일으켜 정자를 생산할 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측했다. 연구팀은 천식 위험이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도 ... ...
혈액 속 암세포
DNA
콕 집어낸다...美·英서 대규모 연구 돌입
동아사이언스
l
2022.09.16
공개했다. 그래일이 개발한 검사의 이름은 '갈레리 검사'로 혈액에 포함된 암 관련
DNA
를 분석한다. 6621명의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갈레리 검사에서 암에 대한 양성 반응이 나온 사람은 92명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추가 검사에서 19명은 유방·간·폐·결장 등 조직에서 고형암이 ... ...
현대인과 네안데르탈인 뇌가 다른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2
밝힌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연구팀은 현대인의
DNA
에 포함된 1만9000개의 유전자 중 단백질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96개의 돌연변이 유전자를 조사했다. 이 중 ‘TKTL1’이라는 유전자는 대뇌 피질과 전두엽에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팀은 ... ...
현생 인류 따라 기생충도 이동...바이킹 똥에서 찾은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1만 년간 편충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화를 살폈다. 모계 유전되는 미토콘드리아
DNA
는 계통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데 진화의 기원을 추적하는 단서로 쓰인다. 그 결과 아프리카에 있던 편충이 아시아 지역으로, 다시 아메키라 지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패턴은 현생 ... ...
약 700만년 전 인류 두 발로 섰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8.29
이어져왔다. 2001년 이후 두개골과 아래턱 뼈, 이빨 외에 추가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고
DNA
추출을 통한 분석도 어려웠다. 두개골 크기와 형태가 유인원과 유사하다는 점과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등 고대 인류가 주로 발견된 동부아프리카가 아닌 중앙 아프리카에서 화석이 발견됐다는 점들도 논란이 ... ...
모더나·화이자 코로나 mRNA 백신 기술 특허 다툼
동아사이언스
l
2022.08.28
침해는 ‘메신저리보핵산(mRNA)’과 관련된 것이다. mRNA는 체내에서 특정 단백질을 만드는
DNA
정보를 실어 나른다. 살아있는 바이러스의 독성을 약화해 체내에 넣는 방법이 아닌, mRNA를 이용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체내 면역세포가 이에 대응할 ... ...
치매, 마침내 정복? 뇌의 독성 단백질 제거 '신호 경로' 발견
연합뉴스
l
2022.08.26
유전자 발현은 전사와 번역 두 단계로 나뉜다. 세포핵에서 일어나는 전사는 유전자의
DNA
템플릿(형판)에서 mRMA 분자가 생성되는 과정을 말한다. 번역은 단백질을 합성하는 아미노산 서열을 mRNA로부터 만드는 것인데 핵 바깥의 세포질에서 이뤄진다. 연구팀은 뇌에서 합성되는 아쿠아포린-4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