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이클
순환
자전거
사이클
진동수
주기
순환기
뉴스
"
주파수
"(으)로 총 643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아름다운 화음? 그건 ‘문화’의 산물
동아사이언스
l
2016.07.31
느끼는 이유가 특정
주파수
비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사람의 뇌가 특정
주파수
비를 아름답다고 느끼도록 설계돼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맥더모트 교수팀은 이런 통념이 사실인지 확인하기 위해 서양음악을 접한 적 없는 아마존 열대우림의 원주민들에게 여러 진동수 비로 ... ...
BMW, 무인주차 기능 선봬…자율주행차 개발에 박차
포커스뉴스
l
2016.07.27
"RCP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433MHz의
주파수
사용이 필요한데, ‘무선설비 규칙’에는 해당
주파수
대에서 원격주차 기능을 허용하는 항목이 빠진 상태"라며 "현재 미래창조과학부의 승인 아래 관련 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으며, 7월1일 입법이 예고된 상황이다"라고 전했다. BMW는 관련 주차 법규가 ... ...
대한민국 과학계, 세계 4위권 표준특허 노린다
2016.07.18
확대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도전하는 스타트업의 진입 문턱이 낮아졌다. 비면허대역
주파수
(900㎒)의 출력기준을 기존 대비 2배로 높이고 위치기반 서비스 사업자의 신고 의무도 함께 완화해 사물인터넷 기술개발과 산업화에도 물꼬가 트였다. 특위를 주재한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미래성장동력 ... ...
수중 드론 길 찾아 주는 ‘수중 GPS’의 세계
2016.07.15
장거리에서도 초음파를 수신해 위치를 확인하는 수중 GPS를 만들기 위해서는 낮은 대역의
주파수
를 활용하는 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美, 초음파 발생 장치 50개 ‘포사이돈’ 개발 수중 GPS 연구는 세계적으로도 최첨단 기술로 꼽힌다. 미국 국방부 산하 고등방위연구계획국(DARPA·다르파 ... ...
[사드 전자파 논란] 국내도입 유사 기종 대부분 ‘안전’
2016.07.14
방위산업체 전파 전문가는 “군사용 레이더는 방해 전파를 피할 목적으로 정확한 출력과
주파수
를 밝히지 않다보니 오해가 커지는 것 같다”며 “미군은 일본 동북부 아오모리 현에서 사드에 쓰는 것과 동일한 ‘AN/TPY-2’ 레이더를 마을 근처에서 운영하고 있지만 별다른 문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 ...
광(光) 자극으로 조정하는 ‘가오리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6.07.10
주파수
를 각각 1.5㎐, 3㎐처럼 서로 다르게 하면 가오리 로봇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주파수
가 같을 경우 앞으로 전진한다. - 사이언스 제공 [☞기사 바로가기] 초소형 ‘가오리 로봇’ 웨이브 타며 물속 유유히 ... ...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
과학동아
l
2016.07.08
내는 레이저 빛(광시계가 측정한 시간)의 파동을 1~2fs 단위로 잘게 쪼개 보냈다 (일명 ‘
주파수
빗(frequency comb)’ 기술). 그리고는 도달한 두 파동의 위상차를 비교해 시간의 오차를 측정하고, 광시계에 반영했다. 여러 번 반복한 결과 두 광시계의 오차를 5시간에 40fs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번 ... ...
수도권 방어 가능할까…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모든 것
2016.07.03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익명의 한 항공우주전문가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에도 동일한
주파수
로 운영하는 인공위성 조종용 레이더가 설치돼 운영 중이지만 바로 옆 건물에서도 아무 문제가 없다”며 “전자파 우려는 기우”라고 말했다. 사드 배치의 가장 큰 걸림돌은 중국 등 우방국의 우려다. ... ...
쉿! 컴퓨터 팬 돌아가는 소리로 해킹한다
2016.06.30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더 커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벤구리온 대학 연구진은 팬의 속도나
주파수
를 조정하는 말웨어를 심어 데이터를 외부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 있음을 보였습니다. 팬 속도가 이진법의 1을 나타내고 싶으면 1000 RPM, 0을 나타내고 싶으면 1600 RPM이 되도록 조정했습니다. ... ...
100배 더 빠른 자동차 내부 네트워크 기술 나왔다
2016.06.29
‘터보 캔(Turbo-CAN)’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최 교수팀은 기존에 쓰지 않던
주파수
대역까지 신호를 보내는 방식으로 1Mbps 수준이었던 캔의 전송 속도를 최대 100Mbps 이상으로 끌어올렸다. 기존 캔 방식은 브레이크나 조향 장치제어 등 차량 운영에 필요한 기본적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 널리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