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87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유인원 꼬리 퇴화시킨 '트랜스포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2
쥐의 TBXT
유전자
를 교정해 실제로 꼬리 변화가 일어난다는 점도 관찰했다. Alu를 삽입하는
유전자
교정을 한 쥐는 꼬리가 짧아지거나 없어졌다. 인간과 유인원의 꼬리가 사라지는 방향으로 진화가 일어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나무에서 내려와 땅에서 사는 게 보다 유리했기 ... ...
반려견도 사람처럼 항생제 내성균 보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이렇게 살아남은 항생제 내성균은 자신의
유전자
를 자손에게 물려준다. 때로는 서로
유전자
를 공유하기도 한다. 연구팀은 반려견에도 항생제 내성균이 존재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한 연구라며 "반려견은 인간과 가장 밀접하게 접촉하는 반려동물이기 때문에 긴밀한 접촉을 하며 서로 ... ...
사람에게 꼬리 없는 이유 알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됐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명확한 결론이 내려지진 않았다.
유전자
변화는 신체에서 하나 이상의 기능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Alu 삽입은 인간과 유인원의 꼬리가 사라지도록 만드는 이점으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동시에 다른 신체에는 해롭게 작용했을 가능성도 ... ...
우수 농작물 개량 핵심 '감수분열' 10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를 발견했다. 이 hcr3의 유전체 수준 교차 증가는 특정 단백질을 부호화하는 ‘J3’
유전자
의 점돌연변이가 원임임을 확인했다. 또 특정 단백질 간 네트워크가 교차 촉진인자 단백질인 ‘HEI10’의 분해를 조절해 교차 간섭과 위치를 제어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혔다. 교차 간섭과 억제 경로를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유전자
발현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했다”며“혼합 꼬리에 기반한 다양한
유전자
치료법 연구와 RNA 첨단 신약 개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구조 분자생물학’에 19일 게재됐다 ... ...
사람마다 아픔 강도 다른 이유, 뇌와
유전자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연구를 통해 통증처럼 여러 요인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결정되는 주관적인 경험을
유전자
형과 뇌 활동량으로 비교적 쉽게 측정할 수 있는 연구 패러다임을 구축했다”며 “MRI 뇌 영상과 타액 수집을 이용한 새로운 통증 치료 기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 ...
장내 세균 눈으로 이동하면 실명 위험 높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시력 저하, 터널시야, 야맹증 등이 나타나는 유전성 망막질환이다. CRB1이라는
유전자
의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으로 환자 중 일부는 실명에 이른다. 연구팀은 CRB1 돌연변이가 눈 주위의 보호 장벽을 약화시킬 뿐 아니라 결장의 막을 형성하는 세포들 사이의 연결도 약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했다. ... ...
'감염병X ' 대응 백신주권에 '한걸음'…셀리드, '다가백신' 전략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7
보이는 다가백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이 백신 플랫폼은 바이러스 복제에 필요한
유전자
를 제거하는 바이러스 벡터 백신을 만든다. 투여 후 인체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이러스 복제를 원천적으로 차단해 안정성을 높였다. 현재 임상 3상 진행 중인 오미크론 변이 대응 백신 'AdCLD-CoV19-1 OMI' ... ...
발달장애·지적장애 일으키는 새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원천기술로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설명했다.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
‘ZFX’를 발견한 국제공동연구팀에 참여한 왼쪽부터 김철희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교수와 딜란 충남대학교 생물과학과 박사과정생. 한국연구재단 제공 ... ...
디지털 육종·바코드 미생물…'2024년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염색체 단위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질환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변이 탐색과 고품질 유전체 지도 작성을 가능하게 한다. 정밀의료의 핵심인 개인 유전체 시퀀싱에 대한 수요와 시장이 가파르게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과 관련해 주목받는 기술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을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