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예외"(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물리학이나 생명과학에 비해 화학을 연구하는 사람은 이런 경향이 더 큰 것 같다. 그런데 예외적인 화학자 두 사람이 있으니 축구공과 똑 같이 생긴 분자 풀러렌을 발견해 1996년 노벨화학상을 함께 탄 리처드 스몰리와 해리 크로토다. 2005년 스몰리가 62세로 일찌감치 세상을 떠나고 11년이 지난 올해 ... ...
- 2016 내멋대로 매스 어워즈수학동아 l2016.12.09
- 모든 술집을 방문할 수 있는 최단 거리 계산 술을 좋아하는 어른들이 있죠. 수학자도 예외는 아닌가 봅니다. 윌리엄 쿡 캐나다 워털루대 수학과 교수는 2년에 걸쳐 영국에 있는 2만 4727개의 술집을 모두 들르는 가장 짧은 거리를 계산했습니다. 도대체 얼마나 술을 좋아 하기에 이런 연구를 했을까요? ... ...
- ‘순실증’으로 사회가 엉망입니다.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2016.11.28
- 부당하고 억압적인 관계…. 그러나 이러한 모순적 상황은 높은 권력층에서만 일어나는 예외적인 현상은 아닙니다. 이러한 이율배반적이고 절망적인 상황은 끊임없이, 그리고 모두에게 일어납니다.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 언정, 그 누구도 이러한 부조리에서 자유롭지 못합니다. 5년 전, 혹은 10년 전 ... ...
- 사기꾼이 출세하는 더러운 세상! 살고싶지 않아요. 어떻게 할까요?2016.11.14
- 잘 설명되지 않는 것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기만 전략이 성공할 수 있는, 예외적인 상황이 있습니다. 첫째 집단의 구성원이 자주 바뀔 때, 둘째 (위협이나 강압적인 통제를 통해) 집단 내의 정보 확산이 원활하지 않을 때, 셋째 (개명, 변장, 신분세탁 등으로) 사기꾼 개체가 자신의 정체를 잘 ... ...
- 한국의 밥맛, 13억 중국인을 사로잡은 이유는 무엇?동아사이언스 l2016.11.10
- 타고 한국 콘텐츠가 케이팝, 드라마, 예능 할 것 없이 대세 중 대세가 된 요즘, 광고 또한 예외는 아니다. 가장 핫한 스타를 광고모델로 내세우는 것이 관건인 광고계 법칙은 밥솥 업계에도 마찬가지!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로 그야말로 인기의 절정을 달리고 있는 배우 김수현은 쿠쿠전자의 ... ...
- 표범의 추억2016.11.08
- 된 걸까. 논문은 이에 대해 ‘하나를 얻으면 하나를 잃는다’는 인생의 교훈이 여기서도 예외가 아님을 보여준다. 즉 육식을 함으로써 고양잇과 동물 특유의 민첩성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칼로리가 고밀도인 육식을 하면 소화기관이 크게 줄어들므로 복부가 작아지고 따라서 재빨리 움직일 수 있어 ... ...
- 선생님 몰래 잠자는 기술 ‘웃음’ 2016.11.06
- 미국의 한 고등학교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모두 열심히 앞을 바라보며 공부합니다. 예외가 없습니다. 뒷줄 가운데의 한 남학생은 자세도 바르고 눈빛도 살아 있네요. 그런데 알고보니 그 남학생은 사람이 아니라 사진에 불과했습니다. 주인공은 그 사진 뒤에서 엎드려 자고 있었고 선생님께 ... ...
- 유아 시절 숫자놀이, 수학 실력 향상? ‘글쎄~’2016.11.03
- 한편 여기서 한 가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앞서 라이언 박사도 언급했지만 ‘읽기’만은 예외라는 것입니다. 다른 비슷한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아이들의 어린 시절에 책을 많이 읽어주면 훗날 그들의 읽기 능력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향상된다고 하니 말입니다. GIB 제공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실렸다. 이에 따르면 포유류 가운데 인간의 폭력성이 높은 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예외적인 경우는 아니다. 즉 인간이 속한 영장류의 폭력성과 비슷한 수준으로 결국 진화의 산물이라는 말이다. 스페인의 연구자들은 사람을 포함해 포유류 1024종을 대상으로 400만 건이 넘는 죽음 가운데 동종 살해의 ... ...
- 아세요? 사탕수수가 벼보다 광합성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2016.10.18
- 어찌되었건 생리의학상은 의학이 강조된 생물학상이라고 봐도 별 무리는 없다. 다만 예외가 있는데 바로 식물학 분야다. 아무리 위대한 발견이라도 식물에 고유한 현상이라면 노벨 생리의학상 대상이 되지 못한다. 옥수수를 연구한 식물유전학자 바바라 맥클린톡이 1983년 생리의학상을 받기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