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호
군호
패스워드
경보
식별코드
기호
부호
뉴스
"
암호
"(으)로 총 562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05.27
싸여 있다. 단순히 식물이나 천체를 다룬 도감일 수도 있고, 연금술사들이 비법을 적어둔
암호
문서일지도 모른다. 또 하나 의문이 드는 사실은 누군가 마지막 세 페이지를 찢어 놓았다는 점이다. 과연 보이니치 문서는 누가 어떤 의도로 무엇을 적어놓은 것일까? ※ 더 많은 수학기사를 2015년 ... ...
우리는 현역 검사, 그리고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015.05.15
내렸다. 그는 지난해 신용카드 3사와 KT의 개인정보 유출 사건 수사 경험을 바탕으로
암호
화된 개인정보 유출 사건에서 형사책임을 물을 수 있는 기준 설정을 석사 논문 주제로 잡고 연구하고 있다. 그는 “이학석사 학위를 받는다고 생각하니 앞으로 진짜 전문가가 돼야겠다는 책임감이 ... ...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4.27
영역(엑손)은 모두 유사하지만, 단백질 발현을 조절하는 부분(인트론, 유전자간부위 등 비
암호
화 DNA) 양은 조류가 가장 적다. 조류의 유전체가 파충류나 포유류 유전체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라는 의미다.) - 과학동아 제공 조류는 DNA의 크기를 늘리는 주요인인 바이러스 게놈(viral genome)의 양도 ... ...
세계
암호
학 ‘핫 피플’ 된 수학도들
2015.03.13
“당신 말대로 해 보니 정말
암호
가 깨지는군요! 축하합니다.” 지난해 10월 말. 서울대 수리과학부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이창민 연구 ... 교수는 “최근 국내에서
암호
전공자들이 점점 사라져 가고 있다”면서 “젊고 유능한
암호
학도들을 계속 발굴해 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컴퓨터가 0과 1만 알아듣는 이유는?
수학동아
l
2015.03.01
것이다. 이밖에도 수학동아 3월호 기획 기사에서는 리만가설부터 수리생물학까지
암호
해독이나 컴퓨터 관련 업적에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은 앨런 튜링의 수학 연구를 만날 수 있다. ※ 자세한 내용은 2015년 3월호 수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꼬인 채 진행시키는 것이다. 파제트 교수는 이 기술을 이용하면 빛으로 디지털 정보를
암호
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피에르 베리니 캐나다 오타와대 물리학과 교수는 빛으로 전자를 조종하는 ‘플라스모닉스(Plasmonics)’ 전문가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지금보다 더 빠르게 정보를 ... ...
튜링은 어떻게 독일군의
암호
를 풀었나
2015.02.06
"기계로 만들어진
암호
는 기계로 풀어야 한다"는 일념으로 '봄'을 완성해 독일군의
암호
를 해독하고 연합군을 승리로 이끌었다. 전쟁의 전세를 바꾼 노르망디 상륙작전도 튜링의 힘 없이는 불가능했다. - 영화사 하늘 제공 ● 슈퍼컴퓨터 원조는 튜링기계 영화에서 튜링(베네딕트 컴버배치)은 ... ...
앨런 튜링의 삶과 비극
수학동아
l
2015.01.30
컴퓨터과학의 아버지이자 독일의
암호
기인 ‘에니그마’를 뚫어 연합군의 2차 세계대전 승리에 혁혁한 공을 세운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 튜링은 비극적인 죽음으로도 유명하다. 이런 튜링을 다룬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이 2월 17일 개봉 예정이다. 이에 앞서 동아사이언스는 2월 11일(수) ... ...
게놈 속의 ‘잠자는 개’를 깨우지 마세요
2015.01.12
발현이 떨어진다. 이 시르트6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히스톤 탈아세틸화효소를
암호
화하고 있다. 그런데 시르트6가 L1의 DNA 히스톤 복합체를 꽁꽁 묶어 L1의 발현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나이가 들어 시르트6 발현이 줄면 L1에 대한 억제력이 떨어지고 그 결과 L1이 준동하면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렙틴(leptin)이라고 명명했다. 물론 db유전자 역시 콜맨의 예상대로 렙틴 수용체를
암호
화했다. 흥미롭게도 렙틴은 주로 지방세포에서 만들고 db유전자는 뇌의 시상하부에서 발현된다. 즉 식욕은 에너지 상태를 파악한 몸이 주는 정보를 토대로 뇌가 판단을 내린 결과라는 말이다. 렙틴의 발견은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