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비만 치료법 등장…양전하 나노물질로 내장지방 없애
동아사이언스
l
2022.12.02
직접 작용하는 고분자 화합물) 배열을 분석한 결과 지방세포의 합성과 저장 과정이 각각
분리
된 것으로 확인됐다. 나아가 쓸모없는 지방세포의 저장 활동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필요한 지방세포의 축적은 내장비만의 주된 원인이다. 연구팀은 P-G3의 양전하가 지방세포의 음전하를 ... ...
코로나19·독감 등 바이러스 4종 동시 진단 PCR 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01
변조된 빛을 쏴 바이러스 유전자 형광 신호를 검출하는 원리다. PCR 기기를 통해 유전자가
분리
및 증폭되면서 형광물질이 유전자에 달라붙는데 이 형광물질에 변조 광원을 조사하면 코드로 변조된 형광 광신호를 낸다. 특정 코드를 활용해 형광을 측정하면 바이러스 변이와 무관하게 높은 ... ...
노벨상 수상 클릭반응으로 고성능 탄소나노튜브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1.30
연구팀은 아자이드 분자가 도입된 고분자를 합성한 뒤 반도체성 탄소나노튜브를 감아
분리
했다. 그리고 알카인 고분자를 유리기판 위에 합성했다. 알카인이 고정화된 기판을 아자이드 고분자가 감긴 탄소나노튜브 용액에 넣으면 클릭반응을 거쳐 탄소나노튜브 필름이 만들어졌다. 이 기법을 ... ...
‘면접순서가 평가에 영향’...합리적 뇌 작용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과정이고 해석은 입력된 정보를 풀어내는 과정이다. 인지 과정에서 표상과 해석은
분리
돼 있으며 각각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인지편향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연구진이 만든 수학적 모델에 따르면 뇌가 대상의 상태를 표상할 때에는 직전 상태에서 변화를 잘 감지할 수 있도록 ... ...
소아에서 성인까지 뇌연결 변화 분석...자폐 원인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21
분석했다. 그 결과 연령이 증가하면서 뇌 영역 간 연결 강도는 점점 강해지고 기능은
분리
되며 정보를 전달하는 시간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 주파수 8~13헤르츠(Hz) 알파 대역에서 뇌 연결성의 변화 과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사실을 밝혔다.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뇌 질환 ... ...
달 향하는 우주선 '오리온'이 보낸 첫 영상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1시 47분(한국시간 오후 3시 47분) SLS가 성공적으로 발사된 후 약 1시간 56분만에 SLS에서
분리
됐다. 오리온은 발사 6일째에 달 상공 97km까지 근접 비행한다. 달의 자전과 반대 방향으로 도는 '원거리역행궤도'(DRO)에 진입해 달의 뒷면에서 약 6만 4000km 더 나아간다. 1970년 아폴로 13호가 도달한 40만 16 ... ...
울릉도·남극 미생물 섞어 암 전이 억제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1.17
미생물 대사물질이 신약후보물질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울릉도 토양에서
분리
한 토종 방선균이 암 세포 이동 억제 효과가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만 이 방선균이 생산하는 억제물질의 양이 적은 것이 문제로 꼽혔다. 연구팀은 남극 킹 조지섬에서 서식하는 곰팡이를 혼합해 억제물질 ... ...
인류, 반 세기만에 달 복귀 '아르테미스' 첫걸음...SLS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맴돌면서 주변 환경을 관측하며 추후 소행성 탐사를 위한 정보를 수집한다. SLS에서
분리
된 오리온은 이달 말 지구에서 45만 616km 떨어진 지점에 도달한다. 1970년 아폴로 13호가 도달한 40만 169km를 넘어서는 기록으로 오리온이 2025년 우주비행사를 태우고 이 지점에 도달하면 인류가 역사상 지구에서 ... ...
부작용 없는 의약품 단초 제시...소리로 '키랄성' 물질
분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2.11.16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특히 이번 연구 결과가 의약품 제조 등 키랄성 물질의
분리
‧조절이 필요한 여러 화학 반응에서 획기적 도구로 사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환자 발생
동아사이언스
l
2022.11.15
바이러스
분리
주를 전자 현미경으로 촬영한 사진. 질병관리청 제공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환자가 발생했다. 질병관리청은 15일 국내 3번째 원숭이두창 확진 환자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확진자는 이달 4일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입국한 내국인이다. 지난 8일 발열과 발한,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보인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