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동력
동력전달장치
장치
전달
기동력
에네르기
공정력
뉴스
"
동력
"(으)로 총 1,244건 검색되었습니다.
민트로봇, 탄성 원리 이용한 감속기로 로봇 자체 개발
연합뉴스
l
2020.06.16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감속기는 모터의 속도를 줄이면서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동력
변환 장치의 일종으로, 관절형 로봇의 핵심 부품이다. 특히 제조용 로봇에 사용되는 감속기는 원가의 34%를 차지할 정도로 원가 비중이 높으며, 대(對)일본 의존도가 높다. 민트로봇이 개발한 감속기는 제조용 ... ...
북한 김책공대 학생, 국제 프로그래밍 대회서 나란히 1·2위
연합뉴스
l
2020.06.12
김정은 정권은 대북제재 장기화 속에 과학기술 육성과 교육이 자력갱생 경제 발전의 추
동력
이 될 것으로 보고 해당 분야에 꾸준히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 ...
애플·MS는 공격적인 M&A 나서는데…국내 기업은 '팔짱만'
연합뉴스
l
2020.06.07
영향을 받고 있는 국내 기업들이 기존 사업을 확장 또는 구조조정하는 것 외에 추가 성장
동력
발굴에는 미온적이라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IT업계와 어깨를 나란히 하는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1월 미국의 자동차 전자장비업체인 하만(Harman) 인수 이후 4년 가까이 대규모 M&A를 통한 사업영역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힘차게 거슬러 오를 것이다. 바이오헬스 산업은 최근 대한민국의 내일을 이끌 미래 성장
동력
으로 자주 언급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국내 제약업체들이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크고 작은 기술이전을 진행하고 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글로벌 바이오기업이 본격적인 궤도에 들어서고 있다 ... ...
1억분의 5m 크기 나노 구조 관찰 가능한 현미경 개발
연합뉴스
l
2020.05.25
주사광학현미경 기술을 개발했다. 25일 기초과학연구원(IBS)에 따르면 분자 분광학·
동력
학 연구단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 물리학과 교수)과 김명기 고려대 KU·KIST 융합대학원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기존 근접장 주사광학현미경의 해상력을 3배 높인 것이다. 근접장 ... ...
미래산업 소부장 스타트업 100개 육성…반도체 상생모델 구축
연합뉴스
l
2020.05.13
중기부 장관은 "일본의 수출규제는 오히려 우리 기업의 소재·부품·장비 국산화 추진의
동력
으로 작용했다"면서 "중기부와 상생협의회가 중소기업과 대기업을 연결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라고 밝혔다. ... ...
연구현장 '영수증 풀칠' 완전 폐지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현장규제 개선 방안이 연구개발(R&D)을 혁신하고 나아가 경제 혁신을 가속화하는
동력
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국가생명연구자원 및 문화유산에 관한 과학기술 중장기 계획 역시 디지털 기반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심의회의는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법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광합성 규명 70년 만에 탄생한 인공 엽록체
2020.05.12
신기술을 동원해 인공 엽록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1903년 라이트 형제의 첫
동력
비행은 12초 동안 36m를 날아간 데 불과했지만 훗날 수천㎞의 비행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이번 첫 인공 엽록체 개발은 오늘날 식물과 몇몇 미생물에 국한된 광합성이 새로운 영역으로 들어서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 ...
"원자의 빈공간에 있는 에너지를 빼내 우주 탐사선
동력
으로 활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얻는다. 주로 지구와의 송수신을 위해 사용된다. 탐사선을 나아가게 하는 추진
동력
으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고 궤도나 자세를 바꾸기 위해 추진력을 얻는데만 주로 사용된다. 핵전지의 추진 효율이 5% 미만이라 탐사선에서 꼭 필요한 때만 쓰인다. 최 수석연구원은 “원자의 빈공간에 있는 ... ...
[특별기고]안전한 사회를 책임지는 국가 연구개발 체계가 필요하다
2020.05.07
있다. 하지만 진단, 원격진료, 원격교육 등은 코로나19 이후의 국가 경제를 움직이는 주된
동력
이 될 수는 없다. 지금은 이렇게 특정 기술과 시장에 집중투자하는 국가 정책이 시급하고 중요한 때가 아니다. 국민의 생명이 위협받고 있고 경제시스템이 붕괴되는 상황에서 소소한 먹거리 타령을 해선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