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쾌활
명랑
활동
행동
실행
활기
원기왕성
d라이브러리
"
활발
"(으)로 총 2,37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기관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자 맞춤형 인공생체를 만드는 시도가
활발
하다. 인공 심장펌프와 압축공기 등 기계 장치를 이용한 인공심장은 50여 년 전부터 개발이 진행돼 왔다. 초기 인공심장은 피부를 관통하는 선을 통해 몸 밖의 외부기기와 연결해야만 했다. 인체 내부에 ... ...
[Tech & Fun] 왜 어떤 간지럼은 고문이 될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들어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간지럼을 비롯해 사람의 행동에 대한 연구가 점점 더
활발
해지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로봇입니다. 김성호 교수는 “간지럼은 운동과 지각의 통합과정을 밝혀 낼 수 있는 좋은 사례”라고 말합니다. 사람은 공을 목표지점에 던질 때 감각으로 거리를 가늠하고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감시 및 도·감청의 위험은 더욱 커질 것이고 제로데이 취약점 거래는 앞으로 더
활발
해질 것이다. 해킹팀의 내부정보 유출로 열린 판도라의 상자에 대해 이제는 우리나라도 본격적인 고민을 시작해야 할 때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스마트폰은 안전합니까Part 1 원격으로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동안 기록했는데, 뇌 활동을 기록하던 중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 잠을 잘 때 뇌가 매우
활발
하게 활동하는 상태인 렘(REM, 빠른 안구 움직임이 관찰되는 수면 패턴) 수면패턴을 도마뱀이 보인 것이다. 사람은 이런 수면패턴을 보일 때 꿈을 꾼다. 그래서 연구팀은 도마뱀 같은 파충류도 사람처럼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높게 관측된다”면서 “보통 해양지역과 달리 서해에서 대기화학반응이 매우
활발
하다는 뜻”이라고 말했다.대기오염물질이 바다를 건너오면서 변하는 실제 과정은 이론에 비해 훨씬 복잡하다. 이번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내야 할 사실도 그만큼 많다. 이미혜 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DC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설계하고 있다.기계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도록 일체형의 작은 장치로 바꾸는 연구도
활발
하다. 인공 와우나 인공 망막은 마이크로폰이나 카메라로 수집한 정보를 생체가 이해할 수 있는 적절한 전기 신호로 변조해 청신경과 시신경을 자극한다. 이 과정을 담당할 음성처리장치를 사용자가 항상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눈에만 시각 자극을 많이 주는 거지요. 그럼 시각 자극을 많이 받은 쪽의 신경 경로가
활발
하게 바뀌어 결국 약시를 치료할 수 있답니다. 이런 가림치료를 할 수 있게 된 것도 다 허블과 위젤의 연구 덕분이지요.달리기로 약시를 치료한다?그동안 과학자들은 허블과 위젤의 연구를 바탕으로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가로지르는 따뜻하고 얕은 바다가 있었다. 이런 내해가 존재할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
활발
했던 지각변동과 관련이 있다.북미대륙을 포함하는 북아메리카판의 동쪽에는 ‘패럴론판’이라 불리는 해양판이 있었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지만, 백악기에는 북아메리카판 밑으로 천천히 가라앉고 있었다. ... ...
[Tech & Fun] 이제는 우주산업 시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개발하는 과정에서 처음 나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항공기 업체들이 더 큰 관심을 가지고
활발
하게 시험을 하고 있다. 초음속 항공기를 개발하기 위해서다. 초음속 항공기를 이용하면 서울에서 뉴욕까지 2시간 만에 주파할 수 있다. 한편 위성체 분야에서는 ‘상변환 물질(Phase Change Material)’ 기술에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교수는 “난자를 구하기 쉽다는 점때문에 돼지와 소를 기반으로 한 복제와 발생 연구가
활발
하다”며 “말처럼 거의 도축을 하지 않는 동물을 연구한다면 난자를 얻기 무척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남궁 교수는 현재 난자가 발달하는 과정에서 액틴(근육 단백질 중 하나)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