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d라이브러리
"
책임
"(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 5] DMZ, 평화지대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본원에서 독일의 비무장지대였던 그뤼네스 반트를 생태공원으로 바꾸는 프로젝트
책임
자로 일해 왔어요.Q. 분트는 생태공원을 만들 때 어떤 역할을 했나요?1989년 12월 9일,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몇 주 지나지 않아 분트가 환경운동가들과 환경학자들의 모임을 열었어요. 독일 국경 근처에서 열린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안착하게 된다. 그리고 6개월 간 시험운영을 거쳐 정상 서비스를 시작한다. 양
책임
연구원은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는 일기예보를 위해 위성 데이터를 쓸 수밖에 없다”며 “천리안 2A호의 방대한 데이터를 수치예보 모델에 입력하면 더 정확한 일기예보가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고려해 돈을 추락시키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캐롤 레이먼드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책임
연구원은 “돈의 유산은 이제 시작”이라며 “돈이 남긴 데이터로 향후 태양계 행성과 생명의 탄생을 연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목적으로 하는 만큼 발사 이후 데이터 수집을 위해 로켓을 반드시 회수해야 한다. 서정기
책임
연구원은 “회수 시스템은 낙하산을 자동으로 펼쳐 로켓을 안전하게 착지시킨다”며 “기존의 5분의 1 수준으로 가볍게 제작하는 데 성공해 현재 특허 출원 중”이라고 말했다. 비행 컴퓨터 시스템과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소화기관을 돌아다니는 마이크로로봇을 몸 밖에서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다.현재 박
책임
연구원은 서울대병원과 공동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보청기’를 개발해 음향제품 전문기업에 기술을 이전했다. 그는 “체내 삽입 의료기기는 수mW 수준의 아주 ... ...
도축은 이제 그만! 오늘 점심은 인공고기 햄버거?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미생물 배양과 다르기 때문에 가장 최적화된 방법을 찾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정
책임
연구원은 또 “(모사 미트, 멤피스 미트 같은) 해외 기업들은 현재 실험실 수준을 넘어 대량 생산에 조금 못 미치는 수준까지 도달했다”며 “이르면 2021년, 늦어도 2025년에는 시중에서 배양육을 만나볼 수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리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 해외에서는 관련 연구가 날마다 쏟아져 나온다. 이
책임
연구원팀은 국내 기관들과 공동으로 한국의 독자적인 시감효능 연구를 진행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그는 “삶의 질이 높아지면서 기능성 조명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며 “산업체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 ...
[TECH]大화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1.5배가량, 전압은 0.2V 정도 높아져 에너지 밀도는 2배 이상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이
책임
연구원은 “전극 구성과 적층 등 공정 기술도 발달해 배터리 용량은 2배 이상 늘어났고 크기는 더 작아졌다”고 덧붙였다.베젤 줄이고, 지문센서 없애고소비자들이 모두 대화면 스마트폰을 환영하는 것은 ... ...
물리학상 - 고출력 레이저 시대를 열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있다. chnam@gist.ac.kr성재희 KAIST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부터 GIST 고등광기술연구소
책임
연구원으로 있다. IBS 초강력레이저과학연구단 학연연구위원으로 초강력 레이저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sungjh@gist.ac ... ...
화학상 - 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한 번 겪을까 말까 한 역경을 수차례나 이겨낼 수 있었던 것은 연구에 대한 그의 열정과
책임
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특히 연구실에서 빛을 발했다. 연구실에서 진행하는 세미나 전날이면 발표할 학생들은 맹연습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곡을 찌르는 아놀드 교수의 질문 공세를 상대해야 하기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