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밀"(으)로 총 2,040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 동토층에도 미생물이 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있다고 알려왔기 때문이다. 생명체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신호였다. 큐리오시티의 초정밀 분석 장비는 이런 가능성을 충분히 확인해줄 수 있었다. 하지만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화성의 대기에 메탄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것이다.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을 가능성은 물거품으로 ... ...
- Part 3 - '달 토끼' 사는 외계 위성 존재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않은 미래에 외계행성이나 위성의 대기 성분은 물 론, 위성이 행성을 가리는 모습까지 정밀하게 관측할 날 이 올 것이다. 밝기 변화를 통해 표면 구조도 알아낼 것 이다. 외계 위성은 태양계 밖 생명체 탐색에 점점 더 중 요해질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 ...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맞춰 로봇슈트의 모 터를 움직이면 된다. 전극이 뉴런 다발에 직접 닿아있으 면 더 정밀하고 다양한 신호를 받을 수 있어 쥐와 원숭이 실험에서는 보통 뇌에 전극을 심는다. 전극이 달린 헬멧을 통 해 두피에서 전기신호를 받아들인다.하지만 이 기술이 실제로 쓰이려면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정준영 ... ...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시렵니까? 게임의 법칙, 수학으로 만든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그대로 이용하는 경우가 드물어요. 개체의 모양이 제멋대로인데다가 2차원 게임보다 더 정밀해야 하잖아요. 따라서 기존의 공식을 응용해서 사용해야 하는데, 수학적 사고력이 없이 수학 공식만 외워서 답을 내는 사람은 이런 프로그래밍을 할 수 없어요. 수학 공식을 스스로 다 유도할 수 있어야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의심할 만한 부분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실험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오차는 정밀하게 걸러졌고, 바이셉2가 중력파의 흔적을 보았다는 사실에 대부분 수긍하는 것이 학계의 분위기다.표준모형과 초끈이론이 틀렸을까지금부터는 바이셉2의 실험이 온전히 맞다는 전제하에 이야기하자. 앞에서 ... ...
- 4개의 쿼크+반쿼크 ‘Z-입자’ 첫 확인과학동아 l2014년 05호
- CERN)는 4월 9일, 기존의 이론을 만족시키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강입자(하드론)를 높은 정밀도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강입자는 물질을 이루는 기본입자(쿼크)가 서로 결합해 만들어진 입자로, 쿼크 세 개가 결합해 만들어지는 ‘바리온(양성자나 중성자 등)’과 쿼크와 반(反)쿼크가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찾으면 양성(단순한 혹)인지 악성(암)인지 구분하기 위해 정밀검사를 받게 된다. 그런데 정밀검사를 해도 구분이 잘 안 가는 결절이 있다. 결절이 작을수록 정확도는 더 떨어진다.대한갑상선학회도 5mm 이하의 작은 갑상샘 결절은 양성과 악성을 진단하기 어렵고, 암이라고 하더라도 생명에 문제가 ...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큰기러기와 쇠기러기 7마리, 큰고니 1마리, 물닭 1마리였다. 검역본부는 이 중 25마리를 정밀 조사해 모두 AI(H5N8형)에 감염된 것으로 판정했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철새 사체를 발견한 곳이 AI가 발생한 농가에서 약 5㎞ 떨어진 동림저수지라며, 이번 AI 바이러스는 철새가 우리나라로 옮겼을 가능성이 ...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수학동아 l2014년 04호
- 예능 프로그램 ‘진짜 사나이’에는 매주 신기하고 놀라운 무기들이 등장한다. 과연 이 무기들은 어디서 개발하고 있으며, 또 어떤 원리가 들어가 있는 것일까? 이번 달에는 두 독자기자가 호기심을 가득 안고 실제 이 무기들을 개발하고 있는 국방과학연구소를 찾아갔다.수학으로 나라를 지킨다! ... ...
- Part 4. “정확도 99.999999636%”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우주초기 중력파만이 아니고, 우주먼지에서 나오는 편광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노이즈가 정밀하게 제거가 된 것인지 검증해야 한다. 이 작업은 우주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에서 나온 자료를 이용할 것이다. 플랑크는 지구 대기권 밖에 있기 때문에 노이즈의 영향이 현저히 적다. 그 때까지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