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원"(으)로 총 2,47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포함돼 있다. 메탄은 온실효과를 내는 강력한 온실가스인 동시에 미래의 청정에너지 자원이다. 진흙화산 주변에는 여기서 뿜어져 나오는 메탄과 주변 영양분을 먹고 사는 특이한 생물이 많아, 새로운 생명 현상을 연구하기에도 아주 좋은 환경이다. 지금까지 땅에서는 600개 이상의 진흙화산이 ... ...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극한건설연구단장은 “심우주 게이트웨이 계획은 달의 현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관건”이라며 “미국, 유럽 등 우주 선진국들도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인 만큼 한국이 적극적으로 동참한다면 선진국의 반열에 오를 것으로 기대되는 분야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韓, ... ...
- Part 2. 스마트 시티, 도시가 똑똑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메가시티는 서울을 포함해 전세계에 36개나 된답니다. 하지만 메가시티는 엄청난 양의 자원을 써서 환경오염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교통 체증, 주택 부족, 높은 범죄율 등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어요. 에너지 소비량이 많으니 당연히 기후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지요. 그래서 스마트 ... ...
- 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화성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주립대가 개발한 ‘루나아이스큐브’는 달 표면에서 약 100km 상공을 돌며 얼음을 비롯한 자원을 찾을 예정이에요. 또 ‘바이오센티넬’이란 큐브샛은 효모를 사용해 생물체를 찾고, 미생물이 우주의 방사선에 노출됐을 때 얼마나 오래 생활할 수 있는지 알아볼 거예요. 소행성을 관측하는 큐브샛도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외래 붉은불개미, 넌 누구냐?지난 9월 28일 오후 5시, 부산 감만부두에서 수상한 개미들이 발견됐어요. 콘크리트 바닥 틈새로 작고, 붉은 개미 1000여 마리가 모여 있었지요. 전국의 개미 전문가들이 즉시 모여 분석한 결과, 그 개미는 바로 전세계의 골칫덩어리인 ‘외래 붉은불개미’로 밝혀졌답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런 개미가 우리나라에 들어왔다니 정말 큰일이야. 더 퍼지지 않게 빨리 찾아서 막아야만 해! 그러려면 반드시 여왕개미부터 찾아야 하는데…. 여왕개미야, 어디에 있니~? 여왕개미는 죽었을까, 숨었을까?정부는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9일까지 10일간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기 위한 조사를 계속 ... ...
- Intro. 항구가 발칵! 외래 붉은불개미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따르르르릉~!”“네~, 곤충 탐정 앤트 홈즈입니다. 뭐라구욧?부산에 수상한 개미가 나타났고요? 바로 갈게요!”부산항에서 신고가 들어왔어. 처음 보는 개미가 나타났다는데 움직이는 게 심상치 않다네? 얼른 와서 무슨 개미인지, 또 어떡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는군. 서둘러 부산으로 가 보자! ... ...
- Part 2. 독침에 농장 파괴까지, 악동 개미 습격 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사건 1. 독으로 깜짝깜짝!외래 붉은불개미는 다른 외래 생물보다도 더 많은 관심을 받았어요. 독으로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입히는 외래 생물은 우리나라에 처음이거든요. 외래 붉은불개미는 독특한 독성분을 갖고 있어요. 바로 ‘솔레놉신’이에요. 이 독에 쏘이면 순간 뜨겁게 느껴지고, 가려움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몸통만 한 집게다리를 가진 흰발농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모래 위에서 게 한 마리가 제 몸집만 한 집게다리를 뽐내고 있어요. 사진 속 주인공은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 갯벌에 사는 ‘흰발농게’예요. 흰발농게 수컷은 한쪽 집게다리가 다른 쪽보다 커서 이 집게다리를 위아래로 흔들며 암컷에게 구애를 한답니다. 그 모습이 마치 바이올린을 켜는 것처럼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꿈을 위한 소중한 만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있어요. 신재생 에너지는 석유와 석탄 없이도 난방 에너지와 전기 등을 생산할 수 있고, 자원이 무한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요. 환경오염을 일으키지 않는 신재생에너지가 앞으로 더 많이 쓰인다면 좋겠어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