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만약 두 번째 사람만 손을 들었다면 카드의 무늬 색은 검정, 빨강, 검정이고, 이것을 숫자로 나타내면 010이에요. 그런데 드 브루인 수열에서는 010이 정확히 한 번만 나타나므로 3명이 가진 카드는 카드 뭉치를 섞기 전 010에 대응하는 카드인 각각 클로버 9, 하트 2, 스페이드 K가 되는 거죠.카드의 ... ...
- 2020년대 작은 위성들이 지구를 뒤덮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인류가 처음으로 우주에 쏘아 올린 위성은 1957년에 발사한 스푸트니크 1호예요. 이후 60년이 조금 넘는 시간 동안 무려 9000개에 가까운 위성이 우주로 발사됐죠. 그런데 앞으 ... 가까운 위성을 발사하는 셈이지요. 현재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위성이 약 5000개이니, 그야말로 엄청난 숫자죠 ... ...
- [인터뷰] 세계 최초 수학대중화 석좌교수 김민형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뒤 더하면 나머지 빗변의 길이를 제곱한 것과 같다’는 이 정리를 통해 거리라는 개념을 숫자 정보로 표현하게 됐기 때문입니다. 두 점 사이의 거리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로 구할 수 있죠.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시작으로 인류는 많은 대상을 수로 표현해 누구나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로 ... ...
- [기획] 역원을 알아야 풀린다! 끈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손가락에 감은 끈을 한 번에 풀리도록 꼬는 방법을 배워볼게요.먼저 끈이 꼬인 상태를 숫자로 나타내는 방법부터 알아볼 텐데, 이때 곱셈의 역원이라는 수학 개념을 이용해야 합니다. 곱셈의 역원은 쉽게 말해 어떤 수에 곱해서 1이 되는 수라고 생각하면 되는데, 2에는 을 곱해야 1이 되므로 2의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문제를 많이 풀면 수학 실력이 좋아질까요?수학동아 l2020년 08호
- 풀었기 때문에 개념까지 안다고 착각하는 것은 위험합니다.과연 선생님의 풀이를 보고 숫자만 바꾼 문제를 맞힌 것이 진짜 내 실력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흉내내기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요? 컴퓨터가 인간의 행동을 따라한다고 해서 동기나 의도까지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겠죠. 어쩌면 우리는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양자난수’라고 부르며 ‘진짜’ 난수라고 강조합니다. 난수는 말 그대로 규칙이 없는 숫자의 배열입니다. 스마트폰에 탑재됐다는 양자난수생성기가 뭔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102p)☞바로가기국내에서도 인기를 끈 미국 드라마 ‘워킹 ... ...
- 숫자로 보는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과학동아 l2020년 08호
- 2020학년도 1학기 사이언스 보드에 어떤 일이 있었는지, 또 2학기에는 어떤 일이 벌어질지 숫자로 정리해 볼까요. ●1학기에 무엇을 했을까? 사이언스 보드는 3월 2일 홈페이지를 오픈하면서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습니다. 특히 사이언스 보드의 ‘공지&이벤트’를 통해 프로그램이나 이벤트 진행을 ... ...
- '갤럭시 A 퀀텀'에 탑재됐다는 양자난수생성기는 무엇?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나올지도 모른다(물론 숫자 1~6 중 하나를 찍을 순 있겠지만). 이처럼 예측할 수 없는 숫자 나열이 바로 난수다. 난수는 보안에 필요한 암호키 외에도 온라인 RPG(역할수행게임)에서 아이템을 무작위로 발생시킬 때, 음원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이 랜덤 재생 기능을 실행할 때 등 다양한 용도로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예측한다고?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매우 논리적이었다는 점에서 큰 점수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현재 NIMS 풀림은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을 공모 중이며, 12월 31일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1. 외계인은 진짜 있을까?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관측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구했기 때문에 아직 관측하지 못한 우주 전체를 생각하면 이 숫자는 더욱 커질 수 있어요. 우리은하에는 대략 1000억 개의 별이 있고, 우주엔 1700억 개 이상의 은하가 있으니까요. 때문에 외계생명체도 어딘가 있다고 믿습니다. 수따 교수님도 외계생명체가 존재한다고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