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인정받는 건 기대하지 않아. 나는 그다음이 궁금해.”“다음 순서요?”“로봇이 이 세상에서 새로운 지위를 인정받은 후의 이야기일까.”“그다음이 무슨 의미가 있나요?”“나는 삶이 허락한다면 로봇들이 만든 문명을 보고 싶다.”“로봇이 살아가는 모습을요.”로봇은 개체로만 존재했다. 같은 ... ...
- [수콤달콤 연구소] 수콤달콤 브런치 카페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달콤 비법 세 각이 모두 예각인 삼각형을 ‘예각삼각형’이라고 해요. 정삼각형은 세 각이 모두 60이므로 예각삼각형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한 각이 둔각인 삼각형은 ‘둔각삼각형’이라고 해요. 둔각삼각형에서 둔각을 제외한 나머지 두 각은 모두 예각이고, 두 예각의 합은 항상 90보다 작지요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각의 크기’가 힌트! 비밀 메시지의 의미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본책 28쪽, 놀이북 23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과 달콤이 직접 만든 케이크 안에 여러분을 향한 비밀 메시지를 남겼어요. 직각, 예각, 둔각을 활용해 메시지가 담긴 케이크 상자를 찾고, 수콤 ... 가위로 자르세요. 놀이북 7쪽의 방법을 참고해 수콤과 달콤이 남긴 비밀 메시지를 찾아보세요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강연자로 강연했습니다. 좋은 동료 연구자와 함께 로타의 추측 해결 허 교수는 2010년 세미나에서는 ‘로타의 추측과 웰시의 추측이 표수가 0이 아닌 체 위에서 표현된 행렬에서는 거짓일 거로 추측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당시 미국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던 에릭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연구하고 있나요? 필즈상 수상으로 삶이 어떻게 달라질까요? A. 무엇을 연구하는지는 자세히 말할 수 없어요(웃음). ‘극한 기하학(Extremal Geometry)’의 연구라는 것만 이야기할게요. 필즈상으로 삶이 많이 바뀔 거예요. 수학자들과 더 많이 이야기하게 되고, 출장도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다음 쪽에 케빈 포드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교수, 벤 그린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 세르게이 코냐긴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교수, 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교수가 함께 다른 방법을 이용해 같은 결과를 증명했습니다. 그 후 두 논문의 저자들이 힘을 합쳐서 위의 ... ...
- [과학자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세상의 큰 차이는 ‘숫자를 어떻게 이해하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0 혹은 1로 세상을 이해하지만 실제는 0에서 1 사이에 무수히 많은 수가 존재하지요. 그래서 컴퓨터는 실수를 계산할 때 0과 1로 나타낼 수 있는 근사치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근사치로 계산할 때, 어떤 숫자가 계산이 ...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중화를 선도하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있으면 텔스타 축구공을 만들 수 있어요. 우선 한 변의 길이가 3cm인 정삼각형 종이의 세 꼭짓점을 한 변의 길이가 1cm인 정삼각형 모양으로 색칠해요. 그 뒤 두 변의 길이가 9.5cm이고, 밑변이 10cm인 이등변삼각형 모양 거울 3개를 삼각뿔 형태로 붙입니다. 이제 정삼각형 종이를 삼각뿔 형태의 거울 ... ...
- [출동! 슈퍼M] "번호판만 보고도 자동차 종류를 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729는 (111)+(121212)=1+1728로 나타낼 수 있어요. 또 (999)+(101010)=729+1000으로도 나타낼 수 있지요. 세제곱한 두 수를 더해서 원래의 수를 만드는 방법이 두 가지인 수를 ‘택시 수’라고 해요. 택시 번호판에서 본 숫자를 보고 깨달았다는 의미이지요 ... ...
-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직렬보다는 병렬로 사고하는 것’이라고 부릅니다. 심지어 아직도 이해하고 싶은 게 세상에 너무 많습니다. 이것이 저를 어디로 이끌지 누가 알까요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